이러한 스마트시티 시장의 성장은 사회기반시설(SOC), 교통 등 공공서비스에 사물인터넷, 인공지능과 같은 지능정보기술을 적용 함으로써 국민의 삶을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만들며 아울러 신산업을 만들어 내는 미래 성장동력의 핵심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에 한국미래기술교육연구원(http://www.kecft.or.kr, 대표 박희정)은 오는 6월 16일(금)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 루비홀에서 '4차 산업혁명의 신산업 플랫폼, 스마트시티(Smart City) 적용 기술과 실증단지 구축방안 세미나'를 개최 한다고 밝혔다.
글로벌 시장조사 전문기업인 마켓츠앤드마켓츠에 따르면 전 세계 스마트시티 시장이 2014년 4,113억 달러에서 2019년 1조 1,346억 달러 규모로 22.5%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내다보고 있으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 따르면 2021년 까지 국내 스마트시티 시장 역시 151조 원의 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금번 세미나는 △'스마트도시법 개정안과 스마트시티 산업 육성지원방안'을 시작으로 △'국내,외 스마트시티 구축현황과 한국형 스마트시티 모델 구축방안' △'스마트시티를 위한 공간정보 빅데이터 활용방안과 비즈니스 기회' △'스마트시티를 위한 효율적 스마트 에너지 개발과 적용사례' △'AI 및 빅데이터 기반의 스마트시티를 위한 최적 교통제어 및 구축사례' △'개방형 IoT 플랫폼 기반의 스마트시티 추진 방향 및 실증 시스템 구축사례' △'스마트시티 도시 안전망 및 연계서비스 구축 사례'의 순서로 진행 될 예정이다.
연구원 관계자는 "스마트시티는 ICT 기반 융합산업의 결정체로서 전세계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미래형 첨단 도시이다. 앞으로 도시 방향이 스마트시티로 귀결되면서 시장조사업체들도 스마트시티 시장의 장밋빛 전망을 쏟아내고 있는 가운데, 각 국가들은 이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다양한 스마트시티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라고 말했으며, "금번 세미나를 통해 우리나라 경제 활성화와 미래 먹거리의 핵심분야로 각광 받고있는 스마트시티 관련 정부정책 및 육성방안과 아울러 산업 분야에서 축척 된 기술적/사업적 노하우를 공유함으로써 관련업계 종사자에게 수준 높은 최신 기술 정보는 물론 미래 비즈니스 기회 선점이 가능한 시장정보까지 제공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1]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