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시, 2035년 도시기본계획안 마련...18일 공청회 개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7-05-17 10:4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기흥·수지 경제도심, 처인중심권 행정도심 체계

 

2도심-5지역 체제


아주경제 (용인)김문기 기자 =향후 용인시 공간구조가 기존 1도심‧5생활권 체제에서 2도심‧5지역중심‧2생활권체제로 바뀐다. 또 도시개발축이 경부광역축, 용인신성장축, 동서중심축 등 3개로 나눠 균형적인 발전이 추진된다.

용인시(시장 정찬민)는 이같은 내용의 ‘2035년 용인도시기본계획안’을 마련, 18일 시청 에이스홀에서 공청회를 개최한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도시기본계획안은 용인시 전역의 도시공간 구조와 장기발전방향을 제시하는 종합계획으로, 지난 2010년 수립한 2020년 목표를 수정한 것이다. 도시미래상은 ‘시민과 함께 하는 사람중심도시 용인’으로 설정하고, 미래상 달성을 위한 4대 핵심목표, 12개 추진전략, 36개 세부추진전략을 세웠다.

인구계획은 경제자족도시로의 도약을 위한 정책적 의지를 반영, 2035년 목표인구를 자연적증가분과 사회적증가분을 합한 150만명으로 계획했다.

도시 균형발전을 위해 기존 1도심 체제에서 행정도심인 처인중심권역과 경제도심인 기흥‧수지권역의 2도심 체제로 개발된다. 처인중심권역의 행정도심은 용인의 신성장거점으로 구축하고, 광역교통망과 연계된 지역 특성에 맞는 계획적 발전방향을 제시해 균형성장 기반을 강화한다.

기흥‧수지권역의 경제도심에는 기존의 주거중심에서 탈피해 도시자족기능을 확보할 수 있도록 GTX역세권~마북연구단지~죽전디지털밸리에 이르는 첨단산업벨트를 구축하고 의료관광산업을 활성화한다. 지역중심은 포곡‧모현, 남사·이동, 양지, 원삼, 백암 등 5개로 계획해 지역간 균형발전을 이룰 수 있도록 했다.

생활권은 기존 용인‧수지기흥‧구성‧남이‧백원 등 5개로 작게 설정했던 것을 2도심 체제에 맞도록 기흥‧수지권역과 처인중심권역 등 2개로 크게 구분했다. 기흥수지권역에는 GTX역세권 복합단지가, 처인중심권역에는 포곡‧모현문화관광복합밸리, 남사복합자족신도시, 양지첨단유통복합단지, 원삼교육중심복합밸리 등이 추진된다. 토지이용계획은 권역생활권별 핵심사업이 원활히 추진 될 수 있도록 시가화예정용지를 확보해 자족도시로서의 신성장 기반을 마련하도록 했다.
 

광역교통망계획


교통계획은 철도망으로 △GTX 광역철도와 에버랜드~광주(수서광주선)연결 △경전철 연장(기흥~광교), 인덕원~수원선 복선전철 △남사~동탄간 신교통수단 등이 추진된다. 또 광역도로로 서울~세종간 고속도로, 제2외곽순환고속도로 등이 추진되며, 고속도로 IC 건설과 지역간 연계도로가 강화된다.

공원‧녹지계획은 주변도시와 연계한 남북‧동서간 산림녹지축을 설정하고 개발과 보전이 조화되는 녹지네트워크를 구축한다. 경관 및 미관계획은 녹색시가지 역사관광 문화예술 전원체험 생태호소 등 5개 권역으로 나눈다.

시는 이번 계획안을 마련하기 위해 지난 2015년 5월 용역에 착수해 7~8월에 주민설문조사를 했고, 작년 2~7월에 민간전문가와 기업체 의견청취하고 31개 읍면동 주민간담회와 중간보고회 등을 거쳤다.

시는 이번 공청회에서 전문가·시의원 등과 함께 용인시의 새로운 미래상 정립과 지속가능한 발전방향을 제시하고 토론을 거쳐 폭넓은 시민의견을 수렴할 방침이다. 공청회는 패널 토의, 주민 질의응답 등의 순으로 진행된다. 이후 시의회 의견청취와 용인시 도시계획위원회 자문, 경기도 도시계획위원회 심의 등을 거쳐 올해 12월까지 최종 승인을 받을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용인시의 체계적 발전기틀을 다지고 수도권 동남부의 자족적 경제중심도시로 성장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이번 도시기본계획안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