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현지시간) 미 정치전문 매체 폴리티코에 따르면 로즌스타인 부장관은 전날 하원의원들에게 '러시아 스캔들' 수사 진행 상황과 코미 해임 및 특검수사 논란에 관해 설명하면서 이같이 언급했다.
로즌스타인 부장관은 "지난해 겨울 당시 상원의원이던 세션스 장관을 처음 만난 자리에서 FBI에 새 리더십이 필요하다는 점을 논의했다"면서 "당시 내가 기억하는 주요 관심사에는 FBI의 신뢰 회복, 법무부 권한 존중, 공개 발언 제한, 정보유출 차단 등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 측이 정권 출범 이전, 특히 세션스 장관이 법무장관에 발탁되기도 전에 이미 코미 해임 카드를 내밀히 검토했다는 것이다.
그는 또 "트럼프 대통령이 코미 해임(5월 9일) 하루 전 '코미를 해임하길 원한다'는 말을 했다"면서 "개인적으로는 코미 전 국장을 좋아하지만 새로운 지도자(국장)를 찾는 게 적절하다는 생각을 했다"고도 밝혔다.
로즌스타인 부장관은 애초 자신이 코미 해임 건의를 주도한 인사로 백악관에 의해 공개로 지목되자 사퇴하겠다며 강력히 반발한 것은 물론, 최근 백악관과 사전 협의 없이 특검수사까지 밀어붙인 인물이지만 이날 의원들 앞에선 자신이 작성한 '코미 비판' 메모에 대해선 적극적으로 방어했다.
그는 "내가 (코미 비판) 메모를 썼고, 지금도 그렇게 믿고 있고 그 입장에 변함이 없다"면서 "특히 '힐러리 클린턴이 이메일을 극도로 부주의하게 다뤘으나 기소는 되지 않을 것'이라는 코미의 지난해 7월 5일 수사결과 발표 기자회견은 극도로 잘못된 것이자 법무부와 클린턴 양측에 모두 불공정한 것이다. 또 대선을 2주 앞둔 10월 28일에 의회에 서한을 보내 '새로운 증거를 찾고 있다'며 재수사 방침을 밝힌 것 역시 잘못됐다"고 지적했다.
로즌스타인 부장관은 "그것은 솔직한 내부 메모"라면서 "다만 그것이 코미 해임의 명분으로 사용되길 원한 것은 아니다"고 주장했다.
sims@yna.co.kr
(끝)
[연합뉴스]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