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05/21/20170521091044895175.jpg)
[특허청 로고.]
아주경제 송창범 기자 = 삼성 ‘빅스비’과 애플 ‘시리’ 등 기업들이 자체 지능형 가상 비서를 상용화하면서, 관련 특허출원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특허청에 따르면, 지능형 가상 비서 관련 특허출원은 2013년 11건에 불과했으나 2014년 36건으로 무려 200% 이상 크게 증가했고, 2016년에는 61건으로 2년 전에 비해 약 70% 가량이나 늘었다.
세부 기술분야별 동향을 살펴보면, 지능형 가상 비서 관련 서비스 분야가 전체 누적 출원 중 60.4%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뿐만 아니라, 최근 3년 사이에 2건에서 59건으로 약 30배 급증해 기술 분야 중, 가장 높은 증가 추세를 보였다.
이는 지능형 가상 비서가 사물인터넷(IoT)과 깊은 관련이 있어 가전기기, 조명, 전기 콘센트 등을 원격 제어하거나, 스마트 와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활동 패턴에 따라 맞춤 컨텐츠를 제공하는 등 주변 사물과 연동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이란 분석이다.
출원인별 동향을 살펴보면, 지능형 가상 비서 관련 특허출원은 국내기업이 주도해 전체 49.7%를 차지했고, 그 뒤를 이어 해외기업 25.2%, 대학 및 연구소 12.8%, 개인 12.3% 순으로 나타났다.
이동환 특허청 이동통신심사과장은 “앞으로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직접 조작하지 않고, 음성을 통해 지능형 가상 비서만을 이용하는 제로터치(zero-touch) 시대가 다가올 것”이라며 “향후 국내기업들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의료·금융·전자결제 등 타 산업분야 기업들과 협업해 차별화된 가상 비서 서비스를 개발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특허청은 지능형 가상 비서가 포함된 4차 산업혁명 기술 패러다임의 변화에 대응, 해당 기술의 정확한 심사를 위해 ‘4차 산업혁명 대비 특실심사기준’을 올해 말까지 마련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