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은 24일 이 같은 내용의 '시스템 리스크(System risk) 서베이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설문조사는 지난 4월 20일부터 이달 10일까지 국내외 금융전문가 72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응답자의 33%는 금융시스템의 최대 위험 요인으로 한국의 지정학적 리스크를 꼽았다. 가계부채를 선택한 응답자 비율은 32%다.
이들 5개 주요 위험 요인을 단순집계한 결과에서도 가계부채와 지정학적 리스크가 큰 비중을 차지했다.
가계부채가 85%로 가장 높았고 지정학적 리스크(71%), 미국 연준의 금리 인상 및 보유 자산 축소(63%),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기조 강화(51%), 취약업종의 기업 구조조정(44%)이 뒤따랐다.
지난해 10월 조사와 비교하면 가계부채 응답 비중이 15%포인트 높아졌고, 지정학적 리스크와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강화가 편입됐다.
지정학적 불안감은 북한의 미사일 발사와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군사적 대응 관측에서 비롯됐다.
가계부채는 올 3월 말 기준 가계신용 잔액이 1359조7000억원(잠정)으로 1분기에만 17조1000억원이 늘면서 금융시장의 우려를 키우고 있다.
금융시스템에 대한 신뢰도는 높아졌다.
앞으로 3년간 금융시스템 안정성에 대한 신뢰도를 묻는 항목에서 응답자의 40%가 '높다'고 답했다. 반면 '낮다'는 응답은 4%를 기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