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경제혁신센터와 관련해 최근 불거진 논란의 핵심은 ‘주된 기능이 창업 지원이므로 다른 유사한 기관으로 이관하거나 통합해야 한다’는 것이다. 과연 그럴까?
먼저, 혁신센터의 창업은 질적으로 다르다. 현재 국내 창업 현실은 다산다사(多産多死)다. 최근 4년간 신설법인 통계를 보면, 전체 신설법인은 27% 이상 증가했으나, 기술창업은 12% 증가에 불과하다. 이 중 벤처기업의 경우, 전체 직원 중 석·박사급은 10명 중 1명, 보유특허는 평균 4건(해외특허 0.4건), 창업 5년 후 생존율은 30%에 불과하다.
20여년간 벤처기업을 키워왔음에도 세계적 수준의 유니콘 기업은 다섯 개가 채 되지 않는다. 반면 혁신센터는 설립 3년 만에 1700개 기업을 키워냈고, 이 중 ICT‧바이오‧소재 등 기술혁신형 창업기업이 70%에 이를 뿐 아니라 점자 스마트 손목시계 ‘DOT(닷)’, 초음파 스마트줄자 ‘베이글랩스’ 등과 같은 글로벌 성공기업이 빠르게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어, 전북센터는 연구개발특구와 협업해 유망 탄소기업을 육성하고 있고, 세종센터는 타 지역과 연계해 전국 281개소에 스마트팜을 지원하고 있다.
혁신센터의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구성원들 또한 창업가에 버금가는 혁신 DNA로 무장한 조직문화를 추구하고 있다. 기업의 성장과 고민을 함께 공유하는 혁신 DNA가 단순논리에 의한 업무병합이나 재조정 과정에서 희석되어 버린다면, 그동안 어렵게 만들어온 지역 혁신 생태계의 한 축이 무너지는 우를 범할 수도 있다.
창조경제혁신센터는 Something Better가 아니라, Something New를 지향하는 기관이다. 그동안 혁신센터가 개방형 혁신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추격자에서 선도자로 변모하는 국면 전환의 변곡점을 마련했다면, 이제는 기술창업을 중심으로 우리나라의 창업생태계를 활성화시키고 지역 혁신 네트워크를 확장하여 혁신을 가속화시켜야 할 시기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