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상하수도본부는 지역 특성을 반영한 하수도정비기본계획을 변경한다고 31일 밝혔다. 오는 7월 하수도정비기본계획(변경) 용역을 착수, 올해 안에 변경 승인을 받을 방침이다.
우선 도내 8개 하수처리장의 시설용량 확충과 읍·면지역 하수관로 확대 시설 등 하수도 인프라시설 확충 등을 검토한다. 도내 8개 하수처리장의 하루 시설용량(35만t)보다 10만7000t이 증가한 45만7000t으로 용량을 확충할 예정이다. 이번 계획은 상수사용원단위 및 계획인구를 조정하고, 관광오수량 등을 반영한 조치다.
하수처리구역 확대, 읍·면지역 하수관로 시설 확충, 제주시 동지역 발생하수량 분산계획 등도 기본계획에 반영할 방침이다.
최근 제주지역은 유입인구·관광객, 각종 개발사업 증가로 발생하수량이 급증하면서 방류수질 초과, 악취 발생 등 하수처리장에 대한 운영상의 문제점을 지적받아 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