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문은주 기자 = 아프가니스탄 수도 카불은 이른바 테러조직의 무법지대로 꼽힌다. 거점형 테러 조직이 활발하게 활동하는 데다 통행 문턱이 낮은 탓에 테러조직의 유입 빈도가 높기 때문이다. 사실상 정부 제재가 없는 상황에서 대형 테러가 자주 발생하면서 인명피해의 비극이 되풀이되고 있다.
◆ 출근길 테러에 사상자 수백명 발생
영국 일간 더 선 등 외신이 31일 보도한 내용에 따르면 이날 오전 8시께(현지시간) 카불 중심부 외교공관 지역에 있는 독일 대사관 근처에서 테러가 일어났다. 아프가니스탄 정부는 이런 테러로 인해 최소 80명이 사망하고 350여명이 부상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자동차와 사람의 통행이 많은 출근 시간대였던 탓에 인명 피해를 키웠다는 분석이다.
테러 발생 지역은 각국 대사관과 정부 기관, 대통령궁 등 주요 기관이 밀집해 있어 통상 일반인의 출입이 제한돼 있다. 이에 따라 테러 배경과 배후에도 관심이 쏠린다. 아프간 내무부는 일단 대량의 탄약을 실은 자동차가 폭발한 것으로 본다. 테러 배후는 알려지지 않았다.
지난 2001년 아프간 전쟁이 시작된 이후 아프간에서는 테러 피해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2008년부터는 해마다 평균 서너 차례의 테러가 발생해 수백명의 목숨을 앗아갔다. 지난 3월에도 카불 소재 군 병원에서 총기 테러가 일어나 최소 49명이 사망하고 60여명이 부상했다.
◆ 국경 통과 문턱 낮아 잠재적 테러 용의자 유입 급증
수도 카불을 중심으로 테러가 잦은 이유는 아프가니스탄을 거점으로 활동하는 탈레반 계열 중 하나인 '하카니 네트워크'의 공격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하카니 네트워크는 파키스탄의 지원을 받고 있다. 파키스탄이 '테러 지원 국가'라는 지적을 받는 이유다.
국경 통과 등 아프간 내 이동이 자유로운 점도 테러 위협의 원인으로 지목된다. 폭스뉴스가 최근 보도한 내용에 따르면 아프간 관계자들은 무장하지 않은 경우 신분증 등 관련 서류가 없더라도 국경 통과를 허용한다. 농업 등 노동 시장 유연화의 일환으로 일단 입국시킨다는 것이다.
문제는 빈손으로 파키스탄 국경을 넘어 입국한 뒤에는 탈레반 등 현지 테러 단체에게 무기를 넘겨받아 테러를 자행한다는 점이다. 월경 당시 무기가 없다는 이유로 통과시킨 점이 부메랑으로 돌아오는 셈이다.
아프간 정부도 이런 문제를 인식하고 상황을 개선하겠다는 입장이지만 효과는 미미한 상태다. 실제로 미국 정부가 2001년 이후 2억 달러 이상을 투자해 테러 정보·추적 시스템을 마련했다. 그러나 잠재적 테러 범죄자의 유입이 계속되는 한 이 시스템도 비효율적인 상황이라는 지적이 나온다고 폭스뉴스는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