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주진 기자 =문재인 대통령은 31일 장관 인사가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기획재정부 등 6개 주요 부처의 차관을 우선 임명했다. 지난 21일 법무부 차관 인사에 이어 이번이 두 번째다.
문 대통령은 '인사원칙 위배 논란' 등으로 국회 인사청문회 대상인 장관 임명에 시간이 걸릴 수 있는 만큼 차관 중심의 실무적 국정 운영 체제를 구축해 국정 드라이브에 박차를 가하겠다는 의도로 읽힌다. 6개 부처를 대상으로 차관 인사를 진행하면서 후속 인사도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장관은 인사청문회 거치고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차관이 먼저 임명되고 업무 파악을 하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생각한다"면서 "(다른 부처 차관은)검증이 나오는 대로 순차대로 발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고형권 기재부 1차관(행정고시 30회)은 대표적인 정책기획통이자 국제금융분야 식견도 겸비한 경제관료 출신이라고 청와대는 설명했다. 전남 해남 출신인 고 차관은 기재부에서 정책조정국장, 민·관합동 창조경제추진단장, 기획조정실장 등을 역임했다.
2011년 세계은행 컨설턴트 자격으로 바야르척트(Bayartsogt) 몽골 재무장관 자문관으로 파견근무를 하며 몽골 국가발전 전략 수립에 기여하기도 했다.
2013년에는 정책조정국장으로서 규제완화와 투자활성화를 진두지휘해 기업 애로 해소 정책인 '현장대기 프로젝트'를 마련하는 데 기여했다. 2015년 민·관합동 창조경제추진단장을 맡아 투자활성화, 규제개혁, 창조경제 분야에서 뛰어난 정책기획력과 추진력을 보여왔다는 평가를 받았다.
경남 고성 출신의 박춘란 교육부 차관(행시 33회)은 '교육부 여성 국장 1호'라는 기록을 갖고 있다. 교육부 평생직업교육국장, 대학정책관, 충청남도교육청 부교육감 등 역임한 박 차관은 대학과 지방교육에 풍부한 경험과 전문성을 갖춘 정통 관료라는 게 청와대의 설명이다.
조현 외교부 2차관(외무고시 13회)은 다자외교에 관한 전문성과 실무경험이 풍부한 정통 외교관이라고 청와대는 밝혔다. 전북 김제 태생의 조 차관은 전주고와 연세대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했다. 주 유엔 차석대사, 외교부 다자외교조정관, 주 오스트리아 대사 등을 지냈다.
서울 출신인 천해성 통일부 차관(행시 30회)은 통일부에서 인도협력국장, 대변인, 통일정책실장, 남북회담본부장 등을 지냈다. 청와대는 천 차관에 대해 "대표적인 통일정책 및 남북회담 전문가"라고 평가했다.
심보균 행자부 차관(행시 31회)은 지방자치와 분권에 관한 다양한 정책부서와 지자체 일선 현장에서 근무한 경험이 있다고 청와대는 설명했다. 전북 김제 출신으로 전주고와 서울대 영어교육과를 졸업한 그는 행정안전부 지역발전정책국장, 여성가족부 기획조정실장, 전북 행정부지사 등을 역임했다.
인천 출신의 맹성규 국토부 2차관(행시 31회)은 국토부에서 해양환경정책관, 종합교통정책관, 교통물류 실장 등을 지냈다. 그는 대중교통, 항공, 철도 등 교통물류 분야를 두루 거친 관료라고 청와대는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