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중앙회 등 9개 중소기업단체는 2일 ‘신위탁보증제도’ 제도의 시행시 문제점을 꼬집으며 정부가 중소기업계의 의견을 충분히 경청해 줄 것을 촉구했다. 이 제도가 시행되면, 관련 중소기업 줄도산으로 수많은 일자리가 사라질 것이란 우려다.
금융위원회에서 하반기부터 시행 예정인 신위탁보증제도는 △국부와 일자리 창출에 기여한 기업에게 불이익을 주는 부당한 조치 △정부재정의 비효율적 운용으로 국고 낭비 △중소기업청의 혁신형기업 육성정책과 충돌 △기업의 보증이용 선택권에 대한 과도한 행정규제 △은행의 보증채권자 및 보증채무자 이중적 역할에 따른 도덕적 해이 우려라는 문제점까지 내포하고 있다.
이는 중소기업 현실을 도외시한 정책이라는 비판이다. 이에 따라 현재 중소기업계, 금융권 및 보증기관 모두가 이 제도의 시행을 반대하고 있지만, 금융권과 보증기관은 업무감독기관(금융위)이 추진하는 사항으로 어쩔 수 없이 응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단체들은 “신보·기보의 일반보증계정과 별도로 창업보증계정을 설치, 운영하면 일반기업과 창업기업 상호간에 영역을 침범하지 않으면서 윈-윈할 수 있는 일석이조의 정책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는 대안도 제시했다.
중소기업단체 관계자는 “만일 신위탁보증제도가 시행될 경우 중소기업이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게 됨으로써 그동안 애써 일궈온 수많은 일자리가 사라지는 악순환이 발생될 수 있다”며 “황금알을 낳는 거위의 배를 가르는 우를 범하지 말아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