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현상철 기자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 후보자가 2일 국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그간 제기된 각종 의혹을 부인했다.
시작과 동시에 자료제출 문제로 여야가 기싸움을 하는 등 쉽지 않은 청문회를 예고했지만, 정작 뚜껑을 열어보니 야당은 강력한 ‘한 방’을 보여주지 못했다. 야당 의원들의 질의에 대한 김 후보자의 설명이 오히려 일부 의혹을 해소하는 모습도 연출됐다.
상황이 여의치 않게 흘러가자 일부 야당 의원은 김 후보자에게 “예, 아니오로만 답변하라”라고 말하기도 했다.
이날 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는 초반 여야가 자료제출 문제를 두고 공방을 벌였다. 23명 중 9명의 의원들이 의사진행발언을 이어가며 본격적인 질의가 30분 정도 지연되기도 했다.
자유한국당 김성원 의원은 “공정위는 경제검찰로 불릴만큼 권한‧권위가 막강한 부처”라며 “다른 장관보다 높은 도덕성이 요구된다”고 입을 열었다. 그러면서 자녀 병역특혜, 위장전입, 통장내역 등의 자료를 요청했다.
더불어민주당 김영주 의원은 “위장전입에 대한 저희 자료는 충분히 도착했고, 아들 군 복무도 충분히 도착됐다”며 “이번만큼 후보자가 국회에서 원하는 자료를 충실히 보내줬다는 데 대해 자신있게 말할 수 있다”고 받아쳤다.
여야가 초반부터 김 후보자의 자료제출 문제로 기싸움을 벌였지만, 정작 본질의가 시작하자 야당은 각종 의혹을 제기하면서도 힘있는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다.
국민의당 김관영 의원은 김 후보자의 ‘예일 월드 펠로십 프로그램’ 참여에 대해 자신을 추전한 미국 모 기업의 CEO가 아느냐, 스폰서로서 지원을 받았냐는 질의에 “스폰서라는 말은 오해고, 추천 CEO‧기업이 누구인지 모르는 게 원칙”라며 “모든 비용에서 추천기업 또는 CEO로부터 지원받은 사실이 없다”고 일축하면서 의혹 제기는 싱겁게 끝나버렸다.
자유한국당 정태옥 의원은 강연료에 대한 소득탈루 의혹을 제기했지만, 명확한 자료가 제시되지 않은데다, 외부강연 건수 통계가 확실치 않기도 했다. 정 의원은 “10만원을 받아도 소득신고 해야 한다”며 “(신고금액 이하라)신고가 안 됐지만, (강연 후)돈을 받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오히려 김 후보자가 “소득신고 누락건수가 있다는데, 자료를 주면 확인해 줄 수 있다”고 자신 있게 말했다.
같은 당 김한표 의원은 다운계약서 의혹을 걸고 넘어졌지만, 김 후보자가 내 놓은 아파트를 구매한 매수자가 다운계약서를 작성한 것을 두고 “예전에 야당(지금의 여당)이었을 때 비판하더니 내가 하면 로맨스고 남이하면 불륜이냐”고 몰아붙이는 모습을 보여줬다.
김 후보자는 “그 문제는 매도하는 입장에서 신고가격이 얼마인지는 매수인이 처리하는 문제”라며 “매수자가 법무사를 통해 얼마 신고했는지 알 수도 없고, 알 이유도 없다”고 잘라 말했다.
김한표 의원은 김 후보자에게 “‘예, 아니오’로 답변해 달라”라고 말하기도 했다. 김 후보자가 의원들의 질의에 대한 답변이 다소 길어지자 정해진 질문시간이 짧아진다는 이유에서였다. 질의 도중 의사진행발언을 요청해 김 후보자의 답변 태도를 지적하기도 했다.
정무위원회 위원장인 이진복 의원은 “부인하거나 지연하는 의도가 아닌 것 같다”며 “내용을 다시 김 후보자가 답변할 수 있도록 해서 오해를 불식시켜야 한다. 당장 답변을 못하면 휴정 때 관련 자료를 제출하라”고 조정했다.
시작과 동시에 자료제출 문제로 여야가 기싸움을 하는 등 쉽지 않은 청문회를 예고했지만, 정작 뚜껑을 열어보니 야당은 강력한 ‘한 방’을 보여주지 못했다. 야당 의원들의 질의에 대한 김 후보자의 설명이 오히려 일부 의혹을 해소하는 모습도 연출됐다.
상황이 여의치 않게 흘러가자 일부 야당 의원은 김 후보자에게 “예, 아니오로만 답변하라”라고 말하기도 했다.
이날 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는 초반 여야가 자료제출 문제를 두고 공방을 벌였다. 23명 중 9명의 의원들이 의사진행발언을 이어가며 본격적인 질의가 30분 정도 지연되기도 했다.
더불어민주당 김영주 의원은 “위장전입에 대한 저희 자료는 충분히 도착했고, 아들 군 복무도 충분히 도착됐다”며 “이번만큼 후보자가 국회에서 원하는 자료를 충실히 보내줬다는 데 대해 자신있게 말할 수 있다”고 받아쳤다.
여야가 초반부터 김 후보자의 자료제출 문제로 기싸움을 벌였지만, 정작 본질의가 시작하자 야당은 각종 의혹을 제기하면서도 힘있는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다.
국민의당 김관영 의원은 김 후보자의 ‘예일 월드 펠로십 프로그램’ 참여에 대해 자신을 추전한 미국 모 기업의 CEO가 아느냐, 스폰서로서 지원을 받았냐는 질의에 “스폰서라는 말은 오해고, 추천 CEO‧기업이 누구인지 모르는 게 원칙”라며 “모든 비용에서 추천기업 또는 CEO로부터 지원받은 사실이 없다”고 일축하면서 의혹 제기는 싱겁게 끝나버렸다.
자유한국당 정태옥 의원은 강연료에 대한 소득탈루 의혹을 제기했지만, 명확한 자료가 제시되지 않은데다, 외부강연 건수 통계가 확실치 않기도 했다. 정 의원은 “10만원을 받아도 소득신고 해야 한다”며 “(신고금액 이하라)신고가 안 됐지만, (강연 후)돈을 받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오히려 김 후보자가 “소득신고 누락건수가 있다는데, 자료를 주면 확인해 줄 수 있다”고 자신 있게 말했다.
같은 당 김한표 의원은 다운계약서 의혹을 걸고 넘어졌지만, 김 후보자가 내 놓은 아파트를 구매한 매수자가 다운계약서를 작성한 것을 두고 “예전에 야당(지금의 여당)이었을 때 비판하더니 내가 하면 로맨스고 남이하면 불륜이냐”고 몰아붙이는 모습을 보여줬다.
김 후보자는 “그 문제는 매도하는 입장에서 신고가격이 얼마인지는 매수인이 처리하는 문제”라며 “매수자가 법무사를 통해 얼마 신고했는지 알 수도 없고, 알 이유도 없다”고 잘라 말했다.
김한표 의원은 김 후보자에게 “‘예, 아니오’로 답변해 달라”라고 말하기도 했다. 김 후보자가 의원들의 질의에 대한 답변이 다소 길어지자 정해진 질문시간이 짧아진다는 이유에서였다. 질의 도중 의사진행발언을 요청해 김 후보자의 답변 태도를 지적하기도 했다.
정무위원회 위원장인 이진복 의원은 “부인하거나 지연하는 의도가 아닌 것 같다”며 “내용을 다시 김 후보자가 답변할 수 있도록 해서 오해를 불식시켜야 한다. 당장 답변을 못하면 휴정 때 관련 자료를 제출하라”고 조정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