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안선영 기자 = 이번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추가 금리인상이 확실시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 경제에는 충격이 제한적일 것으로 보인다. 금리인상 이슈가 시장금리에 이미 반영됐고, 연준의 금리인상 횟수도 예상보다 더디게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11일 금융권에 따르면 연준은 오는 15일(한국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개최해 기준금리를 기존 0.75∼1.00%에서 1.00~1.25%로 인상할 전망이다. 통상 미국 금리인상은 국내 경제에 악재로 작용한다. 하지만 이번 금리인상은 예견된 만큼 당장 국내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보인다.
올해 미국이 예상대로 기준금리를 3월과 6월에 이어 하반기까지 총 3회 인상할 경우, 연말에는 한국과 미국의 기준금리가 각각 1.25%, 1.50%로 역전되게 된다. 때문에 하반기로 갈수록 국내 금리 상승 압력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내년에도 미국의 금리 인상 기조가 이어지면 한국은행이 한두 차례 기준금리를 올릴 가능성이 크다.
한편, 전문가들은 미국의 금리인상보다 보유자산 축소가 국내에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연준은 유동성 공급을 위해 운용 중인 4조5000억 달러 규모의 채권을 하반기부터 서서히 줄여나간다는 입장이다. 연준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시중에 돈이 마르자 시장 안정을 위해 미국채, 주택저당증권(MBS) 등을 사들이는 방식으로 유동성 채권을 풀어왔다.
미국이 보유자산을 축소하면 신흥국들은 내외금리차 축소 또는 역전으로 인해 자본유출 압력이 커지게 된다. 연준의 보유자산 축소가 점진적으로 진행된다고 해도 국내에는 부담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는 셈이다.
이와 관련해 금융권 관계자는 "한국 경제는 가계부채 문제를 제외하면 미국 금리 인상이 미치는 단기 영향은 제한적"이라며 "오히려 연준의 보유 자산 축소가 국내 자금 유출을 높이는 등 경우에 따라 적잖은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