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06/13/20170613113727233892.jpg)
[사진=이정수 기자]
이는 식품의약품안전처 의뢰에 따라 단국대·충북대·중앙대 등이 국민 870명을 대상으로 2010년부터 2015년까지 체내 중금속 농도 변화를 추적하고 식습관·음주·흡연 등과의 관련성을 조사·분석한 결과다.
13일 식약처에 따르면 음주를 1주일에 4회(1잔이라도 마시면 1회) 이상 하는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체내 중금속 농도가 납 54%, 카드뮴 11%, 수은은 89% 높게 나타났다. 흡연자도 비흡연자에 비해 체내 농도가 납 30%, 카드뮴 23%, 수은 43% 높았다.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또 과도한 음주습관을 가진 사람의 경우 불균형한 식습관과 알코올의 방해로 충분한 영양섭취가 안돼 중금속이 대신 흡수된다. 또 체내 면역력이 저하돼 대식세포 등으로 인한 중금속 제거 기능이 저하된다.
체내 중금속 농도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여러 연구를 통해 적잖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과거에는 중금속 노출이 높아 여러 돌연변이 병이 발생하기도 했다. 현재는 중금속 농도 관리로 이러한 경우가 줄어들었으나, 낮은 농도라도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체내 여러 장기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납은 신경계에 작용해 지능 저하, 정신질환을 일으킬 수 있고, 카드뮴은 신장과 간에 독성을 일으킬 수 있다. 수은도 임산부에 노출되면 태아 신경계 발달에 문제가 될 수 있다.
다만 이번 조사에서 조사대상자의 2015년 체내 중금속 농도는 2010년보다 납 12%, 카드뮴 2%, 수은 23% 감소해 현재 국민 중금속 농도 관리는 안전 수준에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 중금속 농도가 30%이상 감소한 집단의 경우 어패류, 유제품을 많이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약처는 칼슘‧철분이 체내 중금속 흡수 방해와 배설에 도움을 주는 영양성분으로 알려져 있고, 칼슘·엽산·철분을 함유하고 있는 어패류, 유제품은 농도를 낮추는 데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다.
식약처는 “이번 조사로 음주‧흡연 등 생활습관과 식습관 개선을 통해 지속적으로 체내 중금속 농도를 줄일 수 있음이 확인됐다”며 “그간의 노력으로 노출량을 줄여왔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분석과 교육, 국민안심정보 제공 등을 통해 중금속 저감화를 실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