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는 7월부터 첨단 사물인터넷 기술을 접목한 스테이션 없는 무인대여 공유자전거 시스템을 ‘민간사업자 운영방식’으로 도입할 예정이다.
이 방식은 자전거에 GPS, 스마트폰 앱으로 작동되는 자동 잠금장치 등이 내장돼 있어 자전거 거치대와 무인 안내 및 결제시스템으로 구성된 이른바 도킹 스테이션이 없어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하다.
이용자 입장에서는 눈에 띄는 자전거를 곧바로 이용하거나 스마트폰 앱으로 주변의 자전거를 검색해 찾은 다음, 자전거에 부착된 바코드를 스캔해 무선통신으로 잠금을 해제하면 이용할 수 있다. 이용한 뒤에는 시내 곳곳에 마련된 노면 표시 주차공간에 자전거를 반납하면 된다.
경기도의 경우 현재 안산시, 고양시, 시흥시, 이천시, 과천시, 부천시에서 공공자전거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으나 안산시의 경우 자전거 1대당 구입가격이 55만 원으로 도킹스테이션 등 최초설치비용만 35억 원, 연평균 운영비만 19억 원이 들어가는 등 6개 시의 연평균 운영비만 50억 원에 달하고 있다.
경기도는 이 같은 현황을 분석해 지난해 4월 ‘자전거 이용 활성화 정책 토론회’를 개최하고 양근서 제3연정위원장의 제안으로 현행 공공자전거정책을 민영 공유자전거시스템으로 정책 전환하는 내용의 경기도 자전거이용활성화 5개년 계획을 수립 중에 있으며, 또한 적정기술을 이용한 미세먼지 저감방안 연구용역에 공유자전거시스템을 활용방안을 반영하도록 했다.
이에 따라 수원시는 당초 시 재정사업으로 설비투자와 관리운영까지 도맡으려던 공공자전거추진계획을 전면 재검토해 공유자전거시스템으로 전환하게 됐다.
수원시는 이 같은 정책 전환으로 공공자전거 3,000대 기준 초기시설 구축비 57억 원과 연간 운영비 17억 원 등 모두 74억 원의 예산을 절감하는 것은 물론 민간사업자로부터 공급 대수에 따른 자전거 주차료까지 받을 수 있게 된다.
공공자전거에서 민영 공유자전거로의 정책 전환을 제안한 양근서 위원장은 “공공자전거의 재정적으로 지속가능한 모델이 바로 민영 공유자전거방식”이라며 “수원시가 처음으로 채택한 공유자전거 모델이 예산 절감은 물론 자전거 문화 확산 및 이용 활성화에도 큰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