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안보부의 데이비드 라판 대변인은 18일(현지시간) 국토안보부 관리들이 공항에서 북측 관계자 3명으로부터 "다양한 미디어 아이템(media item)과 패키지를 압수했다"는 내용을 AP통신을 통해 전했다.
앞서 북한 외무성 대변인은 18일 조선중앙통신 기자와의 문답에서 "지난 16일 뉴욕에서 열린 장애자권리협약 당사국 회의에 참가하고 돌아오던 우리 대표단이 뉴욕 존 F.케네디(JFK) 비행장에서 미국의 불법 무도한 도발행위로 말미암아 외교신서물(diplomatic package)을 강탈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며 "미국의 안전성(국토안보부 추정) 소속 직원들과 경찰 20여명이 외교신서장(diplomatic courier certificate)을 지참한 우리 외교관들에게 외교신서물을 빼앗으려고 했다"고 밝혔다.
대변인은 "우리 외교관들이 완강히 저항하자 완력을 사용하여 강제로 외교신서물을 빼앗아가지고 달아나는 난동을 부리였다"며 "우리 공화국에 대한 용납할 수 없는 주권침해행위 극악한 도발 행위"라고 주장했다.
‘외교관계에 관한 빈 협약’에 명시된 ‘문서의 불가침’ 조항에 따르면 일종의 문서주머니인 외교행낭(行囊) 안의 내용물은 재외공관 주재국 정부나 제3국이 행낭 소유국 동의 없이 볼 수 없게 돼 있다.
북한 외무성 대변인은 이런 외교적 특권을 앞세워 미국이 ‘국제협약을 위반했다’고 거듭 주장할 것으로 보인다.
대변인은 “유엔 본부가 위치하고 있는 유엔 총회를 비롯한 국제적 회합의 마당으로 돼 있는 뉴욕의 한복판에서 주권국가의 외교신서물에 대한 강탈행위가 벌어진 것은 미국이라는 나라가 불법, 무법의 깡패국가임을 보여주는 뚜렷한 실례”라고 비난했다.
이에 대해 미국 국토안보부 데이비드 라판 대변인은 “국무부에 따르면 북측 관계자들은 유엔주재 북한대표부의 공인된 멤버(외교관)가 아니고, 외교적 불가침특권이 없다”면서 “문제가 되고 있는 패키지도 검색으로부터 외교적 특권이 없다”고 지적했다고 AP통신이 전했다.
북측이 3명의 대표단이 외교관이며, 패키지가 외교서신물이라며 사실상 ‘외교관계에 관한 빈협약’상 불가침특권을 주장하고 있는 것을 정면으로 반박한 것으로 보인다.
라판 대변인은 “북측 관계자들이 물리적으로 물품을 되찾으려고 시도했지만 국토안보부 요원들에 의해 제지당했다”면서 “알려진 공격행위(aggression)는 북측에 의해 시작됐다”고 말했다.
미국 대학생 오토 웜비어가 북한에 억류됐다가 최근 혼수상태로 석방된 데 따라 미국인들의 대북 감정이 악화한 데 이어, 북측이 이번 사건에 강력히 반발하면서 북미 간에 새로운 긴장요소로 작용할 가능성이 주목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