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06/26/20170626200627498658.jpg)
26일 안랩에 따르면 이력서 위장 악성코드의 경우 하반기 취업시즌을 앞두고 공격자는 특정인의 이름을 붙인 이력서로 위장한 PDF 파일을 유포했다. 아이콘의 모습은 PDF문서이지만 실제로는 악성코드가 포함된 실행파일(.exe)이다. 피해자가 무심코 이 파일을 실행하면 악성코드 설치와 함께 이력서 형태의 정상 PDF파일도 실행되는 방식이다.
‘광고표시의무위반내역’이라는 이름으로 경고장을 사칭한 악성코드도 발견됐다. 이 악성코드는 엑셀파일의 아이콘으로 위장했으며 실행파일(.exe)을 클릭하면 악성코드 설치와 동시에 문자 광고의 의무표시위반내역처럼 보이는 엑셀파일을 사용자에게 보여준다.
위 두 악성코드 모두 감염 이후 사용자 몰래 네트워크 연결을 시도한다. 이는 C&C 서버(Command & Control 서버, 공격자가 악성코드를 원격 조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서버)로 접속해 악성 행위에 필요한 파일을 추가로 내려 받는 등의 악성행위를 시도하기 위한 것으로 추정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