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보기의 그래그래] 오늘도 안녕! 달래씨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7-06-29 18: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최보기의 그래그래]

오늘도 안녕! 달래씨

달래씨와의 첫 만남은 1963년 음력 8월 12일 해거름에 이뤄졌다. 그러나 달래씨와의 구체적인 기억은 6살 이후부터 시작된 터라 저 날은 달래씨의 기록이 아닌 기억에 의해 추정됐을 뿐이다. 그때만 해도 남해안의 섬에서는 대부분 아이들의 출생신고를 태어난 이듬해 동네 이장이 단체로 했기에 국가 공식 기록은 ‘640606’이다. 하여간 달래씨의 저 기억이 정확한지, 해거름은 도대체 몇 시인지 아리송해 평생 사주팔자를 못 본다. ‘교회 종 칠 때, 토끼 밥 줄 때’ 엄마를 처음 만난 동네 또래 아이들 역시 그렇다.
아직 달래씨 탯줄에 의지해 숨을 쉬던 때 군청 소재지에 산부인과 병원이 있었다. 이미 6명의 자식을 낳아 그중 한 명을 어려서 저 세상에 보낸 달래씨는 더는 아이를 낳고 싶지 않아 한 날 굳게 마음을 먹고 멀리 그 병원을 찾아갔다. 그런데 가는 날이 장날이라고 마침 그날 의사가 출타 중이었다. ‘에고, 이놈을 낳아서 키우라는 소린갑다’며 집으로 돌아오는 통에 구사일생으로 달래씨와 만날 수 있었다.
달래씨는 1929년에 태어났다. 물론 이 역시 국가 공식 기록일 뿐, 텔레비전에 고 김대중 대통령이 나오기라도 하면 ‘저이와 내가 동갑’이란 말씀을 자주 하셨다. 그러나 김 대통령의 출생연도와 5년의 차이가 있으니 달래씨의 실제 연세는 아마도 아흔 살 언저리로 보면 비교적 정확할 것으로 추정된다. 지금에야 확인할 길도 없지만 굳이 그리할 이유도 없겠다.
올해 (아마도) 아흔 살의 달래씨는 완전문맹이다. 1930년대의 일제강점기 남해안 섬에서 태어났던 많은 딸들이 그러했다. 열여덟 살에 옆 마을의 두 살 위 총각과 결혼해 서른여섯 즈음에 생존한 4남 2녀의 막둥이 아들을 낳으셨다. 그토록 가난했던 섬마을에서 쉴 틈 없는 농사일·갯일 사이 모두 8명 가족의 삼시세끼 밥상을 꼬박꼬박 차리고, 빨래와 청소 등 가사 일체를 돌보며, 젖먹이 어린 자식까지 양육했다는 것은 지금으로 치면 실로 상상할 수 없는 대역사다. 어쨌든 달래씨는 그 일을 모두 해냈다. 그것도 ‘흰 건 종이요, 검은 건 글자’라는 까막눈으로.
성장한 자식들이 하나 둘 대도시로 떠나간 쉰 살 즈음의 달래씨는 무슨 수를 써서라도 막내 아들만큼은 가르치겠다는 결의를 다졌다. 그래서 섬마을의 재산을 총정리해 한 푼이라도 현금을 벌기 쉬운 가까운 육지 항구 읍내의 완전 빈민가로 이사를 결행했다. 그때부터 까막눈 달래씨의 행상은 시작됐다. 읍내 재래시장 노점에 함지박 두어 개를 놓을 떳떳한 자기 자리가 생길 때까지 3년을 달래씨는 주변 가게 건물 귀퉁이를 떠돌며 눈치 장사를 해야 했다. 달래씨의 상품은 멸치, 도라지, 조개 등등. 낮에는 종일 장사하고 밤에는 도라지를 까거나 조개를 다듬는 일과를 반복했다.
어느 날, 중학교 2학년이던 막내아들은 친구들과 거리를 걷다가 어판장에서 리어카에 조개를 가득 싣고 시장으로 향하던 달래씨를 먼발치에서 봤다. 작은 내리막길에 들어서자 힘에 부친 달래씨가 리어카를 제어하려고 핸들을 꼭 잡은 채 바닥에 엉덩이를 대고 리어카 받침대를 브레이크 삼아 땅바닥에 긁히며 엉금엉금 기어 내려갔다. 막내아들은 얼른 뛰어가 돕는 대신 그런 달래씨가 엄마라는 것이 창피해 애써 외면한 채 제 길을 가고 말았다. 또 어느 날 저녁엔 무슨 돈 8천원을 안 준다고 단칸방 부엌의 펄펄 끓는 연탄불에 찬물 한 바가지를 퍼부어 부엌을 난장판으로 만듦으로써 달래씨가 방파제에 나가 대성통곡하게 하기도 했다.
그토록 철없던 아들의 학교와 학년이 높아질수록 달래씨의 머리 위 함지박도 비례해 무거워졌고, 달래씨의 목은 반비례로 짧아졌다. 도시로 유학 간 아들의 학비와 생활비를 위해 붕어빵 몇 개를 사먹을까 말까 고민고민하다 집에 들어와 찬물 한 바가지로 점심을 때우고 다시 시장으로 나가기도 했다. 그 와중에도 달래씨는 신체 작은 아들이 도시에서 날마다 얻어맞지나 않을까 걱정이 돼 이불을 둘러쓰고 울기도 했다.
그렇게, 그렇게, 그렇게, 막내아들은 무사히 대학까지 마칠 수 있었다. 취직하고 결혼도 했다. 1남 1녀의 가정도 이루었다. 대도시에 집 칸도 마련했고 신문에 대문짝만 한 칼럼도 쓴다. 그 사이에 제 새끼 키운다고 제대로 돌아보지 못했던 아흔의 달래씨가 사는 집은 그 항구 인근의 요양원으로 바뀌었다. 언제든 맨발로 반기던 막둥이 아들이 가물에 콩 나듯 찾아가 ‘엄마!’ 하고 불러도 침묵으로 일관하신다. 벌써 나이 오십을 넘겼음에도 막둥이에게는 어머니보다 엄마가 더 익숙하다. 달래씨는 그 막둥이 아들인 나의 엄마다.
나는 왜소하다. ‘노가다’라도 할 수 있을까 싶게 왜소하다. 하여 달래씨가 죽을 힘으로 나를 가르치지 않았다면 그때의 내 인생이 어떠했을지는 상상하기조차 싫다. 그 달래씨가 이제 시나브로 멀어져 간다. 따라 가려야 갈 수 없는 곳으로 멀어져 간다. ‘막둥아! 새끼들 잘 키우고 각시랑 잘 살아야 한다’는 게 역력한 오매불망을 내 가슴에 수북이 내려놓고 휘적휘적 멀어져 간다. 바닥까지 타 들어간 촛불처럼 위태위태 출렁이며 아득해져 간다.
나는 그런 달래씨, 나의 엄마에게 ‘미안해요. 사랑해요. 고마웠어요’란 말밖에 할 수 있는 게 없다. 내가 이제껏 겪은 인생으로는 ‘아부지’란 단어가 ‘엄마’보다 결코 가볍지는 않으나 내겐 그 아부지로 인해 엄마가 더욱 숭고하디 숭고하시다. 오늘도 안녕! 달래씨.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