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회계기준(IFRS17)을 대비하기 위해 긴축 재정을 해야 하는 상황이지만, 일자리 창출 정책에 강하게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정부에게 미운털이 박힐까봐 걱정하는 눈치다.
4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국내 15개 생·손보사가 발표한 올해 1분기말 현재 총 직원 수는 4만1103명이다. 지난해 1분기말보다 3.2% 줄어든 수치로 대다수 보험사에서 직원 수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흥국생명, 동부화재, 메리츠화재 직원 수가 큰 폭으로 줄었다. 흥국생명 총 직원 수는 79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8% 감소했다.
영업점포 감소율은 더욱 심각하다. 국내 보험사의 점포 수는 지난 2월 말 기준 현재 6727개로, 이는 4년 만에 1000개 이상 줄어든 수치다. 2013년 기준 국내 보험사의 점포수는 7861개로 8000개에 육박했다. IFRS17 도입으로 보험부채가 늘어날 전망이라 보험사마다 지점 통폐합은 불가피한 상황이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07/04/20170704181656117090.jpg)
[그래픽= 김효곤 기자 hyogoncap@ ]
보험사들은 저금리 기조로 인한 수익성 저하와 독립법인대리점(GA)의 성장으로 판매채널이 다변화되고 있기 때문에 어쩔 수 없다는 입장이다. 문제는 이같은 행보가 새 정부의 정책 기조와 정반대라는 점이다. 일자리 창출에 방점을 찍은 정부는 최근 은행권이 점포 축소를 확대하자 강력한 제동을 걸었다.
금융당국은 총 점포의 10% 이상을 줄이는 등 대규모 통폐합을 추진하는 은행에 대해 고객 이탈에 따른 유동성 악화 가능성에 대비해 건전성 감시를 강화키로 했다.
또 은행이 점포를 폐쇄하기 각각 2개월 전에 고객에게 개별적으로 알리고 홈페이지 등을 통해 폐쇄 시점, 폐쇄 사유, 대체 가능한 인근 점포의 위치를 안내하도록 했다.
결국 이같은 정부 정책이 보험업계로 향할 수 있다는 우려가 높다. 지난해 가맹점 수수료율을 인하했음에도 불구하고 올해 한차례 더 추가 인하하며 카드사들의 희생을 강요한 것처럼, 보험사들의 일자리 축소에 제동이 걸릴 확률이 높다는 지적이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IFRS17 도입으로 보험부채가 늘어날 전망이라 보험사마다 지점 통폐합과 희망퇴직 등 비용 감축에 더 신경 쓸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하지만 정부의 일자리 창출 정책으로 인해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