때문에 최근 개최되는 의료계, 제약산업계 행사에선 4차 산업혁명을 주제로 꼽고 있는 것을 적잖게 볼 수 있다. 그러나 이 행사들을 다녀보면서 느낀 공통점은 아직 국내 의료산업이 4차 산업혁명을 받아들일 준비가 돼있지 않다는 것이다.
4차 산업혁명은 지난해 해외에서 시작됐지만, 이미 전 세계적인 흐름이 되고 있다.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활용한 질병 진단과 예측, 원격 데이터를 통한 컨설팅 서비스 등은 4차 산업혁명을 맞아 시도되고 있는 대표적 사례 중 하나다.
추후에는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기기 등을 통해 원격으로 몸 상태를 점검받고, 발병된 질환을 즉각 진단받아 원격으로 처방전을 받은 뒤 약 복용 시 주의해야 할 사항을 점검하고 약을 스스로 조제받는 것도 가능할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분석도 있다.
일각에서는 이 때문에 의약계가 국내에서의 4차 산업혁명 도입 분위기에 대해 배척하려는 경향이 있으나, 더 이상 새로운 기술 도입을 자신의 영역에 대한 도전으로 여기고 배척하거나 무관심으로 일관해서는 안된다는 지적도 나온다.
해외에서 도입된 모바일 차량 예약 이용서비스인 ‘우버’(Uber)가 국내에선 도입되지 않고 뒤처져 있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만일 향후 다가올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외면한다면 전 세계 의료 시장에서 점차 입지를 높여왔던 국내 의료산업의 노력은 물거품이 될 가능성도 있다.
현 의료시스템이 잘못된 것은 아니다. 그러나 신기술과 융합된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시도하면서 4차 산업혁명에 빠르게 대처해나간다면 위협이 아닌 기회가 될 수도 있다. 피할 수 없다면 즐기는 것도 답이라 하지 않나.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