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탁회의'는 지난 2015년 말에 시의원, 전문가(교수), 언론, 연구기관, 유관기관, 농·어민, 부산시유관부서 등으로 구성됐다.
현재는 시민참여분과ㆍ생태복원분과ㆍ수리수질분과 등 3개 분과에 총 34명 위원이 활동하고 있으며, 낙동강 하굿둑 개방에 따른 문제점 및 대책논의, 지역주민들과 수계지자체 협력방안 모색 등을 중심으로 낙동강하구 생태복원 전반에 대한 의견교환 및 자문 등 낙동강 하굿둑 개방을 통한 낙동강하구 생태복원 추진에 중추적인 역할을 해 왔다.
지난해까지 분기별로 개최된 원탁회의는 조기대선 기간 등으로 올 상반기에 개최하지 않고, 민ㆍ관 별도로 공약채택 촉구활동을 전개하는 데 주력해왔으며, 대통령 지역발전 공약 채택이라는 큰 성과를 거두어 국가정책화 추진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낙동강하구기수생태계복원협의회로부터 상반기 범시민 결집 위탁사업 현황을 들어본 후 하반기 주요업무 추진계획을 논의한다. 또한 낙동강 하굿둑 수문개방 시범사업(3차용역) 조기 착수를 촉구하고 향후 우리시의 정책방향을 모색해 본다.
특히, 현재 새 정부의 '수량 및 수질관리 일원화' 방침과 정부조직개편 등 변화 동향에 예의주시하며 하반기 하굿둑 수문개방 시범사업(3차용역) 조속 착수를 위한 방향성 제시 및 분야별 전문적인 조언이 있을 예정이다.
부산시 관계자는 "이번 원탁회의 검토사안에 대해 낙동강 하구 생태복원과 하굿둑 개방 관련 정책에 적극 반영하고, 환경부 주도로 올 7월부터 가동되는 '시범사업 추진 실무회의'에도 적극 참여해 시의 목소리를 적극적으로 담아내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