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충범 기자의 부동산 따라잡기] '떴다방'을 바라보는 업계의 이중적 시각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김충범 기자
입력 2017-07-11 13:59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김충범 기자 = 아파트 분양현장이나 모델하우스 인근을 둘러보면 대형 파라솔이 설치된 곳에서 아파트에 대해 설명하고 명함을 뿌리는 데 열을 올리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어떤 곳은 아예 작심한 듯 컨테이너 가건물까지 설치돼 있죠.

이처럼 분양현장 주위에 진을 치고 불법 중개행위를 하는 이동식 중개업소를 '떴다방'이라고 합니다.

원래 떴다방은 철새처럼 이곳저곳 이동하며 영업행위를 하는 사람들을 일컫는 속어입니다. 부동산 업계에서는 중개업소가 '여기저기 뜨는' 행태를 빗대 생겨난 말인데, 어느 순간 부동산 전문 용어로 자리잡았습니다.

사실 떴다방을 통한 거래는 엄연히 불법입니다. 아무리 정식 허가를 받은 중개업자와 거래를 한다 해도 말이죠. 이는 떴다방 업자들이 변칙 거래를 통해 아파트의 거품을 높이고, 시장을 교란하기 때문입니다.

떴다방 업자들은 시세차익이 예상되는 아파트를 대거 확보하고 이를 다시 파는 수법으로 큰 시세차익을 남깁니다. 이 과정에서 청약통장의 불법 매집 및 거래, 당첨권 불법 거래, 분양권 가격조작 등이 이뤄지게 되죠.

떴다방은 지난 1998년 처음 등장했을 만큼 예상외로 역사가 그리 길지 않습니다. 외환위기 직후였던 당시 정부가 분양권 전매제한을 풀면서 이들 물건을 신속하게 처리하는 떴다방이 등장하게 됐고, 이후 호가를 올리는 투기세력으로 자리매김한 것이죠.

문제는 불법거래의 온상지인 떴다방에 대해 업계의 이중적인 시각이 자리 잡고 있다는 겁니다. 이는 떴다방이 2006년 판교신도시, 2013년 위례신도시 등 과열 지역의 중심에서 영향력을 행사하다 보니, 떴다방이 성행하는 곳은 곧 블루칩 지역이라는 공식마저 생겼습니다.

한 건설사 지인은 떴다방이 그야말로 '필요악'의 전형이라 하더군요. 아파트 청약의 성공 여부는 모델하우스 집객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떴다방이 '알아서' 밀집해 있으면 모객이 증가해 분양 홍보효과가 배가된다는 겁니다. 사실상 건설사나 분양대행사는 떴다방의 영업 행태를 묵인할 수밖에 없는 상황인 것이죠.

하다 못해 청약자 입장에서도 떴다방 없이 주변이 휑한 모델하우스를 들어설라 치면 고민이 들게 마련입니다. "인기가 없어 보이는데 청약해도 될까?"라며 말이죠. 이런 곳의 경우 분양 관계자들이 은밀히 떴다방을 불러야 하는 것 아니냐는 이야기도 공공연히 나눈다고 합니다.

결국 떴다방이 뿌리내리지 못하게 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힘이 절대적으로 필요합니다. 떴다방은 공인중개사법 위반으로 처벌 대상입니다.

무엇보다 국토교통부가 수시로 떴다방을 단속할 수 있는 체계가 마련돼야 합니다. 떴다방으로 인한 가장 큰 피해는 투기 먹이사슬 하단에 있는 일반 시민들이 입기 때문이죠.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