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07/19/20170719162359277607.jpg)
[사진=제주도]
배군득 기자 = 해양수산부는 19일 국정운영 5개년 계획에서 수산자원 관리 강화와 해양생태계 기반 수산정책 실현을 위한 방안을 추진한다. 이와 함께 해양공간 통합관리 및 해양환경에 대한 국가 관리체계를 강화 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내년부터 휴어제를 시행해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어업생산량을 회복에 나선다. 또 2019년에는 어구관리법 제정, 2021년 어구 실명제 도입 등을 준비 중이다.
해수부는 연근해 어업생산량을 회복하는 차원에서 내년부터 명태 인공종자를 매년 100만 마리를 방류한다. 2019년부터는 명태 양식을 시작해 오는 2022년 명태 자원 회복 및 대량 양식생산체계 구축에 착수하겠다는 복안이다.
양식업 첨단화‧규모화도 이뤄진다. 내년에 ICT 첨단양식기술 개발계획 수립, 2012년부터 스마트 양식장 구축 등 양식 생산량 230만t 달성을 목표로 잡았다. 수산물 수출지원센터는 올해 4개소 설치를 시작으로 단계적 확장을 계획하고 있다.
이 센터를 활용해 2022년 주요국 수출거점 구축이 완료되면, 수산물 수출 40억 달러 달성이 가능해질 것으로 해수부는 기대하고 있다.
한편 올해부터 양식장 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HACCP) 등록을 매년 30개씩 확대해 2019년 수산물 이력추적관리제 단계적 확대를 모색한다.
이밖에 올해 해양공간계획법 제정해 내년 남해안을 시작으로 2021년 동해안까지 공간계획을 수립, 2022년까지 해양보호구역 34개소 지정과 갯벌복원 20개소를 완료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