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에서 중국산 제품에 대한 불매운동이 일파만파 퍼지고 있다. 중국과 인도의 국경 분쟁 대치문제가 한달 넘게 이어지면서다. 여기에 인도가 중국과 무역에서 연간 500억달러(56조원)가 넘는 적자를 기록하는 것도 영향을 미쳤다.
26일 인도 현지매체 파이낸셜익스프레스와 인디아투데이 등에 따르면 서부 구자라트 주의 철강회사 루드라TMX는 중국산 휴대전화를 쓰지 말자고 제안했다.
협력업체와 판매상이 중국산 스마트폰을 가져올 경우 인텍스나 카르본 등 인도 업체에서 만든 스마트폰을 지급하겠다고 약속했다.
앞서 지난 21일 동부 오디샤주 상인연합(FAOTA)은 중국산 물품을 사거나 팔지 않기로 결의하기도 했다.
델리주 뉴델리에서도 여당인 인도국민당(BJP)의 기반인 민족봉사단이 다음달 1일부터 전국적으로 중국산 제품을 불매하자는 캠페인을 진행하기로 했다.
이같은 움직임은 학계에서도 포착되고 있다. 인도 싱크탱크 정책연구소(CPR)의 브라마 첼라니 교수는 한 일간지 기고문을 통해 "중국이 한국의 사드 배치를 두고 보복을 위해 경제적인 피해를 입혔다"며 "인도 역시 그들의 전략대로 중국에 무역 보복을 해야 한다"고 밝혔다.
인도에서 대규모 중국산 제품에 대한 대규모 불매운동이 벌어진 것은 중국과 인도 군대 수천명이 한달 넘게 대치하고 있기 때문이다.
양국은 지난달 중순부터 중국 티베트-인도 시킴-부탄 3개국 국경선이 만나는 도카라 지역에서 중국군의 도로 공사 적절성을 놓고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여기에 인도가 중국과 무역에서 꾸준히 적자를 내고 있는 것도 이번 불매 운동의 이유다.
인도는 2015-16 회계연도 대중 무역 적자가 526억8000만달러(59조원)로 전년도 484억8000만달러(54조원)보다 8.7% 증가했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이같은 중국산 불매 운동이 중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할 것이라는 주장도 여전하다.
지난해 기준 인도는 중국으로부터 583억3000만달러(65조원) 가량을 수입하는 등 수입비중이 상당하지만, 중국 입장에서 보면 전체 수출에서 인도가 차지하는 비중은 고작 2% 안팎이다.
인도 매체 이코노믹타임즈는 "불매운동은 중국 경제에 타격을 줄 정도로 큰 영향을 줄 수 없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