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은 그럴듯 한데"…정부기관 사칭 대출 피해 확산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임애신 기자
입력 2017-08-08 19: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금감원, 관련 사이트 폐쇄 검토

  • SNS 관련기사 게시…착각 일으켜

  • 저금리 광고 유인, 실제론 살인금리

  • '파인'서 제도권 여부 꼭 확인해야

금융감독원이 온라인 상에서 정부기관을 사칭해 대출 영업을 하는 대부업체의 사이트 폐쇄를 점검하고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8일 "국민금융지원센터 S뱅크 관련 제보가 들어왔다"며 "한국인터넷진흥원이나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등 인터넷사이트를 조치할 수 있는 기관에 협조 요청을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S뱅크가 금융기관이 아니다보니 금감원이 직접 규제할 수 있는 방법이 없는 상황"이라며 "홈페이지에서 대출 수요자들을 현혹하고 있다면 제도권 금융회사를 사칭한 불법금융업체로 보고 사이트를 차단하는 조치를 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부 상품 내걸었지만, 알고보면 '살인금리'

국민금융지원센터 S뱅크에 따르면 이들 업체들은 '정부가 만든 온라인 금융지원서비스' '24시간 문닫지 않습니다. 언제 어디서나 신청 가능한 서민지원대출'이라는 문구를 내걸고 영업 중이다. 마치 인터넷은행과 서민금융진흥센터를 떠올리게 한다. 페이스북에 금융위원회와 금감원 관련 기사를 게시해 마치 정부기관인 것 같은 착각도 일으킨다. 

정부의 서민금융 상품을 빙자한 대출업체들의 영업은 하루이틀 일이 아니다. 최근 주택 안정화 방안이 발표된 후 주택담보대출 한도가 줄어든 데다 이달 중 신용대출 한도까지 줄어들 것으로 전망되면서 이같은 업체들이 더 활개치고 있다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이들 업체들은 불법대부업체 또는 대부중개업체들임에도 불구하고 전국민안심대출, 정부지원 햇살론, 정부3.0 국민지원대출 등의 상품명부터 햇살저축은행, 미소저축은행, 새희망저축은행, 국민지원센터, 서민금융통합센터 등 실제 존재하지 않은 금융회사까지 다양한 이름을 내걸고 있다.

​햇살론·미소금융 등 서민금융상품을 담당하는 서민금융진흥원에 따르면 현재 정부기관이 온라인상에 정책상픔을 광고하는 건은 단 한 건도 없다.

 

대부업체 또는 대출중개업자들은 온라인상에서 햇살론 등 서민정책상품을 내세워 모객 활동을 하고 있다.    [사진= 인스타그램 캡쳐]

◆SNS 이용해 20~30대 노려

불법대부업체의 주 활동 무대는 페이스북·인스타그램·트위터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다. SNS 이용자가 급증하면서 SNS가 검색 기능까지 대신하게 되자 불법 사금융업체들이 활동무대를 기존 신문광고·전화·전단지 등에서 온라인으로 옮겼다. 

이들은 햇살론·사잇돌대출 등 정책상품을 내세워 SNS 주이용층인 20~30대를 적극 공략하고 있다. SNS의 특성상 입소문이 빠르게 퍼지는 장점을 노린 것이다. 지인뿐 아니라 불특정 다수에게 게시물을 볼 수 있게 노출 할 수 있다. 

천안에 거주하는 문모(37) 씨도 "저금리라고 해서 개인정보를 입력했더니 실제론 금리가 높았다"며 "페이스북에선 누가 봐도 정부가 운영하는 사이트로 보였는데 낚인 기분이었다"고 토로했다.

이에 대해 금감원 관계자는 "금융소비자정보포털 '파인'에서 허가 받은 제도권 금융회사인지 확인할 수 있다"며 "만약 사이트에서 조회가 어려우면 금감원 민원 상담센터 1332로 문의하거나, 해당 금융기관의 정식 고객센터로 전화해서 이런 사이트가 실존하는지 확인하면 된다"고 조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