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기 시장된 P2P금융 "수익률 20% 미만은 거들떠도 안 봐"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윤주혜 기자
입력 2017-08-16 15:47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사진=아이클릭아트]


PF(프로젝트 파이낸싱)와 NPL(부실채권) 상품이 P2P금융 시장을 잠식하고 있다. 투자자들이 안정성보다 수익성을 우선하면서 다수 P2P업체들이 경쟁하듯 고수익 상품들을 선보이고 있는 것이다.

문제는 수익률이 높은 만큼 위험성도 크다는 점이다. 저축은행 부실 사태 이전의 모습을 보는 것 같다는 우려까지 나오고 있다.

16일 P2P금융업권에 따르면 부동산 PF 등 하이리스크 상품을 취급하는 P2P업체의 연체율이 급격하게 오르면서 부실 징후가 여기저기서 나타나고 있다.

펀딩플랫폼의 부실율은 25.94%에 이른다. 최근 PF 상품에서 연체가 발생하면서 연체율이 급격하게 올랐다. 한국P2P금융협회에 소속된 빌리의 연체율도 6.20%(이날 기준)에 이른다.

이처럼 연체율이 한 순간에 급격하게 상승하는 이유는 PF 등 리스크가 높은 상품들에서 연체율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PF는 대출 금액이 워낙 크기 때문에 연체나 부실이 발생하면 걷잡을 수 없을 정도로 상승한다. 

애초 개인 신용대출에 주력했던 P2P금융시장에서 하이리스크 상품들이 쏟아져 나오는 것은 P2P업체가 급속히 늘며 경쟁이 치열해지자 업체들이 투자자 다수를 유인하기 위해서 수익률이 높은 상품을 중점적으로 취급하고 있기 때문이다.

PF와 함께 수익률이 높은 NPL(부실채권)상품도 인기다. P2P금융은 법적으로 직접 NPL을 매입할 수 없다. 때문에 대부업체 등과 MOU를 맺는 방식으로 NPL상품을 취급하고 있다. NPL 취급 업체가 매입자금의 일부를 P2P를 통해서 대출을 받으면서 NPL채권에 근저당부 질권 설정을 해주는 형식이다. 이렇게 되면 NPL업체가 대출금을 상환하지 않을 때 P2P업체가 투자자들의 자금을 회수할 수 있다.

문제는 개별 P2P업체들이 PF와 NPL채권에 대한 심사 능력을 얼마만큼이나 갖추고 있는지다. 

금융권 관계자는 "NPL은 부실이 발생한 채권이기 때문에 안정적이라고 말하는 데 어패가 있다. 때문에 개별 P2P회사가 해당 부실채권의 적정가격을 분석하는 심사 능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PF도 정부가 부동산 시장과의 전쟁을 선포한 만큼 앞으로 시장이 위축될 게 불보듯 뻔해 수익률만 좇으면 대거 부실이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럼에도 P2P업체 대다수는 관련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서 고수익을 홍보하며 투자자를 유인하고 있다. 상황이 이렇자 '투자'가 아닌 '투기'에 가깝다는 비판의 목소리까지 나온다.

P2P관계자는 "수익률 20%가 아니면 투자자들이 거들떠도 안 봐 투자자 모집이 여의치 않다"며 "요즘 추세를 보면 투자보다는 투기에 가깝다"고 토로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