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수교 25주년] 암초 만난 한중관계, "함께 이겨 찬란한 미래 열자"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김근정 기자
입력 2017-08-25 08:44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권병현 전 대사, 이세기 회장, 교수, 유학생 등 민간 외교사절의 '한중관계에 대한 생각과 바람'

한중과 중국을 전방위적으로 연결하는 수교의 길이 열린 지 25년이 흘렀다. 경제·무역, 인문·민간교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했고 막대한 성과를 거뒀으며 상생을 위해 분주한 발걸음을 놀린 시간이었다. 하지만 최근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북핵 관련 주변국과 신경전이 치열해지며 분위기가 달라졌다. 이에 따라 한중 양국이 슬기롭게 이를 극복해 보다 찬란한 내일을 열기를 바라는 마음도 커지는 분위기다.

추궈훙(邱國洪) 주한중국대사도 지난 17일 열린 ‘제5차 한중 공공외교포럼'에서 “25년간 가장 어려운 문제에 직면했지만 지금까지 양국이 다양한 분야에서 실질적 성과를 얻어냈고 협력의 원동력과 기반도 여전하다”고 강조했다. 민감한 시기인 만큼 한중 양국 관계 발전을 직접 체험하고 민간 교류를 이끌어 온 주인공들의 한중관계에 대한 생각과 바람이 갖는 의미도 크다.  

◇ 권병현 한중문화청소년협회 미래숲 대표(전 주중대사) "굳게 손 잡고 새로운 문명 열자"
 

[사진=아주경제 DB]
 

1992년 한국과 중국은 수교를 맺으며 손을 잡았다. 그리고 25년간 양국의 우호관계는 계속 발전했고 경제·무역은 물론 문화 등 민간교류도 활발해졌다. 찬란하고 혁혁한 발전과 협력의 수확을 거둔 것이다. 최근 양국 관계에 냉기류가 흐르고 주변 정세 악화와 함께 대립각도 커지고 있다. 이웃 국가로 오랜 역사를 함께하고 많은 굴곡을 극복해온 한국과 중국은 지난 25년간 협력과 공존의 단단한 토대를 쌓아왔다. 양국이 함께 이뤄낸 기반을 바탕으로 앞으로도 굳게 잡은 손을 놓지 않고 함께 새로운 문명을 창조해가길 바란다.

◇ 이세기 한중친선협회 회장 "구동화이로 난관 극복, 中 북핵 해결 큰 역할해야"
 

[사진=아주경제 DB]


한국과 중국은 오랜 시간을 함께 해온 이웃 국가다. ‘하오펑유(好朋友·좋은친구)’인 양국이 최근 사드 한반도 배치로 대립각을 세우면서 찬란하게 꽃 피웠던 한중간 민간·인문 교류가 냉각됐다. 양국관계 발전과 민간외교 확대를 위해 노력해온 사람으로서 지난 25년간 이뤄낸 협력과 번영의 성과가 사라질까 안타깝기만 하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은 ‘구동존이(求同存異)’ 대신 ‘구동화이(求同化異)’를 외치고 있다. 다름에도 같은 것을 추구하자는 데서 진일보해 조화를 이뤄 함께 전진하자는 개념을 들고 나온 것이다. 한국과 중국도 ‘구동화이’의 자세로 작금의 난관을 조속히 극복해야 한다. 북핵 해결에 있어서는 중국이 더 큰 역할을 하길 기대한다. 한반도와 동아시아를 위기에서 구해내고 나아가 세계 평화와 안정을 수호하는 데 힘을 보태야 한다. 난관을 이겨내고 발전의 길을 걸어왔듯 앞으로도 양국 지도자와 국민의 지혜와 끈기로 더 넓고 평탄한 길을 열 것이라고 확신한다.

◇ 취환(曲歡) 한중문화우호협회 회장 "문화 등 한중 민간교류의 물줄기 계속되야" 
 

 


한중 관계는 수교 전의 ‘적수불루(滴水不漏·물 한 방울도 샐 틈이 없다)’에서 수교 당시의 ‘수도거성(水到渠成·조건이 갖추어지면 일은 자연히 성사된다)’, 수교 후 ‘해납백천(海納百川·바다는 수 많은 강을 모두 받아들인다)’로 변해왔다. 둑이 무너지고 세찬 강물이 바다로 흘러들 듯 양국 관계는 빠른 발전을 이뤘다.

나는 수교 초기 한국으로 이주해온 신화교(新華僑)로 양국관계 발전의 증인이자 참여자며 수혜자다. 한중 문화교류 촉진을 위해 앞장서 노력하는 한 사람으로서 특히 문화가 양국 관계발전에 금상첨화와 같은 역할을 했음을 몸소 체험했다. 사단법인 한중문화우호협회는 설립 이후 15년간 다도·서예·술·종교·소수민족 문화 등 다방면에서 양국 지방정부간의 심층적 교류를 촉진하고, 소통의 교량이 되고자 노력해왔다.

‘문거나득청여허, 위유원두활수래(問渠那得淸如許,爲有源頭活水來·연못의 물이 이리도 맑은 것은 근원에서 끊임없이 물이 흘러나오는 까닭일세)’(주자-관서유감)라고 했다. 새로운 생각과 행동으로 함께 민간교류 ‘근원의 물줄기’가 멈추지 않도록 해야 한다.

◇ 임마누엘 페스트라이쉬 경희대 국제대학 교수 "북핵, 구체적 로드맵으로 해결" 
 

 
1992년 한국과 중국은 수교를 체결했고 지금의 나는 한국에서 양국 학생을 모두 가르치고 있다. 이들의 모습도 과거와 다르다. 한국어, 중국어를 유창하게 구사하고 진심으로 양국 관계의 발전과 함께하는 더 나은 미래를 소망한다. 동북아 안보를 수호하고 밝은 미래를 열기 위한 이들의 글로벌 비전과 노력, 바람은 나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최근 동북아에 군사 충돌 리스크가 커지고 있다. 한국과 중국은 이를 극복하기 위해 구체적이고 확실한 로드맵을 그려야 한다. “외교적 접근을 통해 해결하겠다”는 애매모호한 입장보다는 한중 양국의 정부·학계·기술·비지니스·안보 등 분야 리더들이 모여 향후 25년의 목표를 정하고 이를 위한 실질적 행동에 나서는 것이 가장 좋은 해법이라 생각한다.

◇ 조평규 단국대 석좌교수 "화이부동 철학으로 한반도 위기 극복해야" 
 

 

시진핑(習近平) 주석은 3년 전 한국 방문 당시 서울대 강연에서 “20세기 전반 일본 제국주의자들의 야만적인 침탈과 영토 강탈로 한국과 중국은 큰 고난을 겪었다”고 말하고 ”역사적으로 위기가 있으면 양국의 국민은 생사를 같이하고 서로 도와 극복했다. 그것도 4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고 했다. "적은 돈으로 집을 사고 많은 돈으로 이웃을 사지만 좋은 이웃은 돈과 바꾸지 않는다(百金买屋,千金买隣,好隣居金不换)"며 "존중하고 믿으며 같은 점을 취하고 차이점에는 공감대를 형성한다(互尊互信,聚同化翼)"고 한국에 대한 무한한 신뢰도 보였다.

논어에는 군자는 화이부동(和而不同)하고 소인은 동이불화(同而不和)하는 사람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화(和)는 다양성을 인정하고 차이를 존중하는 공존의 원리지만, 동(同)은 차이를 인정하지 않는 흡수·병합의 논리다. 화이부동(和而不同)의 철학은 현재 한반도를 둘러싼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중심 사상이라고 확신한다. 양국이 마음을 열고 함께 지혜를 짜내 작금의 모순을 조속히 해결하기를 소망한다.

◇ 류쯔양(劉子陽) 경기대 대학원 국제경영학 교수 "한중 관계 시련 길지 않을 것"
 

[류쯔양 경기대 대학원 국제경영학 교수]


한중 수교 25주년은 축하해야 할 큰 경사다. 양국은 다양한 분야에서 교류와 협력을 확대해왔다. 물론 흡족하지 못한 부분도 있다. 서로 이해하고 신뢰하며 협력해 해결할 문제다. 그 누구도 역사적 발전의 큰 흐름을 막을 수 없다는 생각으로 큰 그림을 그리고 글로벌한 시각으로 접근해야 한다. 사드 갈등이 양국 민간·인문 교류에 막대한 타격을 줬다. 한 사람의 교육자로서 사전에 준비해온 각종 국제교류·포럼·대학간 협력 사업 등이 중단돼 안타깝다. 하지만 시련의 시간이 길지는 않으리라 생각한다.

◇ 장쉐진(姜雪今) 서울시립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객원교수 "갈등있지만 해결할 수 있어" 
 

 


지난 25년간 양국 관계는 각종 난제 속에서도 계속 발전했다. 좋은 이웃으로 인적교류, 경제·무역, 문화·학술 등 다방면에서 거둔 실질적 성과를 지켜봐왔다. 정치·외교·군사 방면에 갈등이 있지만 해결할 수 없는 문제는 아니다. 한중 양국은 역사적으로 우호적 관계를 유지해왔고 공통점도 많다. 유교 문화권에 속해 유가 전통경전·문화에 대한 이해도가 상당히 깊어 긍정적이다. 또, 오랜기간 직접적인 군사 충돌도 없었다. 양국 지도자들은 이미 순망치한의 이치를 깨닫고 감정이 아닌 이성으로 현실에 접근하고 있다. 갈등은 있지만 역사라는 큰 틀에서 보면 일시적인 현상이자 잠깐의 좌절일 뿐이다.

◇ 황페이(黃菲) 서울과학종합대학원(aSSIST) 경영관리 MBA 주임교수 "두려워 할 필요없다"
 

 

올해는 한중 수교 25주년이다. 내가 처음 한국에 온 것은 2002년으로 한중 양국교류의 발전사를 직접 목격했다. 서울에 머무는 기간이 길어질수록 한중 수교라는 역사적 결과물이 결코 쉽게 얻어진 것이 아니며 이를 물려받은 후손인 우리가 양국관계 발전을 위해 계속 노력해야 함을 실감한다. 사드라는 장애물이 양국을 가로막고 유학생의 정상적인 교류·이동도 타격을 받았다. 나는 양국이 함께 노력해 우리 앞의 장애물을 제거할 수 있다고 확신한다. 한중 수교 초기에 직면했던 난관은 지금보다 더 위협적이었다. 그러니 두려워 할 필요없다. 한중 양국 지도자의 깊은 지혜와 양국 국민들의 넓은 포용력을 나는 믿고 있다.

◇ 아구다무(阿古達木) 재한중국유학생회 회장 "유학생은 양국교류의 귀중한 자산"
 

 

지리적으로 가깝고 문화적 유사성을 바탕으로 양국은 다양한 방식으로 민간 차원의 교류를 확대했고 양국 국민간의 우의와 이해도 깊어졌다. 유학할 나라를 결정할 때 보통은 정치상황, 치안, 민간교류와 교육수준 등을 주로 고려한다. 이에 최근 양국 관계 악화가 유학생 교류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는 없다. 유학생은 한중 양국 교류가 거둔 귀중한 자산이자 그 무엇으로도 대체할 수 없는 민간 사절이다. 중국 유학생들을 대표해 양국 관계가 조속히 정상궤도에 올라서고 유학생들이 양국 관계 발전에 힘을 보탤 기회도 늘어나길 바란다.

◇  왕화젠(王華健) 재한중국인박사연합회 회장 "한국 내 유학생 절반 중국인, 예민한 시기"
 

 


1990년대 ‘한류’는 중국 80허우(1980년대 출생자), 90허우에게 큰 영향을 줬다. 한국 드라마, 화장법, 아이돌 등은 많은 중국 청년들에게 잊을 수 없는 기억이다. 한국에 있는 10만여명 외국인 유학생 중 절반 이상인 6만명이 중국인이다. 한국 교육부는 2023년까지 외국인 유학생 20만명 유치 목표를 내놨다. 최근 비중을 고려하면 이 중 10만명 이상이 중국인이 될 가능성이 크다. 사드 갈등은 일부 중국 학부모와 학생이 안전을 이유로 한국을 포기하게 할 수 있다. 예민한 시기다. 한국 내 유학생과 동포들은 스스로 엄격히 관리해 불순한 목적의 개인이나 단체에 이용당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유학 초기의 초심을 깊이 새기고 학업에 열중해 인생의 목표를 향해 정진할 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아주NM&C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