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과 인도의 국경 분쟁이 1962년 영토 전쟁 이후 최악의 상황으로 치닫고 있는 가운데 한국산 제품의 반사이익이 기대된다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의 대인도 주력 수출품목이 전기전자, 자동차, 화학, 기계 등 대부분의 분야에서 중국과 중복된다는 이유에서다.
◆13억 vs 13억 중국·인도 국경대치
24일 인도 현지매체 NDTV에 따르면 인도 국방부는 총 234대의 해상작전용 헬기 도입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는 대(對)잠수함전 능력을 갖춘 다용도 헬기(NUH) 111대와 다목적 헬기(NMRH) 123대 등이다.
인도 해군이 해상작전용 헬기 전력 확충에 나선 것은 중국의 해상 위협 때문이다. 최근 중국은 인도양에서 항공모함 랴오닝(遼寧) 전단과 최신예 구축함과 호위함 등을 내세워 위력를 과시했다.
지난 15일에는 라다크 판공 호수 인근에서 중국군이 실질통제선을 넘으려다 인도군과 충돌, 양측이 돌을 던지면 싸우는 등 난투극을 벌이기도 했다.
코트라 인도 뉴델리무역관은 "양국 간 갈등이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인도 내에서 중국 제품 배척 움직임도 뚜렷이 나타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인도와 중국은 지난 3월 이후 인도 북동부 중국 접경지역인 도크람(Doklam)에서 군사적 대치를 이어가고 있다. 이는 중국 측이 이 지역에 도로 건설을 시도하면서 촉발됐다.
인도에서는 반중(反中) 감정이 격화된 상태다. 중국산 제품과 기업을 겨냥한 불매운동도 벌어지고 있다. 힌두단체이자 현 정권의 기반인 사회단체 RSS는 지난 1일부터 2주간 중국 상품 보이콧 운동을 전개하기도 했다. 이외 중국 상품과 시진핑 주석의 초상을 불태우는 시위도 벌어지는 상황이다.
◆대인도 주력 수출품목이 겹친다...'반사이익' 기대
그러나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중국산 제품의 비중이 줄어들 가능성은 작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미 중국산 제품은 인도 소비시장을 장악했기 때문이다.
최근 5년간 인도 내 중국 상품의 점유율은 크게 증가하고 있다. 2012년 10.7%에 불과했던 중국의 인도 수입시장 점유율은 2016년 기준 16.8%까지 급상승했다.
또한 수입되는 제품은 스마트폰 등 주요 전기·전자제품으로, 인도 정부가 추구하는 메이크 인 인디아(Make in India)를 확립하는데 필수적인 분야다. 중국으로부터 수입되는 통신기기제품의 수입액은 48억 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해당 제품군 총수입의 29%를 차지한다.
여기에 알리바바, 텐센트, 샤오미 등 중국의 대표 기업들이 인도에 대규모 투자를 했다. 인도 정부가 중국산 제품에 대한 무역규제를 강화할 경우 이같은 투자유치 계획에 차질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높은 상황이다.
다만 코트라는 "중국산 제품이 인도 소비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크게 줄지 않겠지만, 한국에는 반사이익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미 지난 9일 인도 상공부는 93개에 이르는 중국산 제품에 대해 반덤핑 관세를 부과했다. 국경분쟁에 대한 보복 조치의 일환이다. 이에 화학, 기계, 철강 등 중국의 주력 수출품목이 포함됐다.
코트라는 "지난해 기준 한국의 대인도 주력 수출품목은 전기전자, 자동차, 화학, 기계, 철강으로 대부분의 분야에서 중국과 겹친다"며 "단지 2010년 CEPA 발효 이후 한국-인도 간 무역수지 불균형이 심화되는 상황은 유의할 점"이라고 짚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