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08/25/20170825160143374934.jpg)
송문선 대우건설 대표이사.
대우건설이 지난 16일 송문선호 출범 이후 열흘도 안돼 첫 조직개편을 단행했다. 산업은행이 짧은 시간 내 대우건설 매각에 속도를 붙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대우건설 측은 기존 11본부, 1원, 2실, 50담당, 101팀을 8본부, 1원, 37실, 98팀으로 재편했다고 25일 발표했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글로벌 컨설팅사인 '맥킨지'에 맡긴 경영진단 결과를 토대로 조직개편을 단행했다"며 "업무 효율 개선, 조직 간 조정 및 조율 기능 강화 및 건설 산업의 불확실성에 대비한 선제적 조직 슬림화에 초점을 맞췄다"고 말했다. 이어 "기존의 담당임원 제도를 폐지하고 본부 내에 실 개념을 도입해 효율성을 극대화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대우건설은 주택사업본부와 건축사업본부를 통합해 아파트, 오피스텔 등으로 분리돼 있던 주거 분야를 통합·관리할 예정이다. 또 해외사업 분야를 토목, 주택건축, 플랜트사업본부 산하로 재편해 수주, 시공, 운영에 이르는 과정을 단일 사업본부 내에서 관리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엔지니어링본부를 플랜트사업본부에 통합하고, 전략기획본부 산하의 리스트관리 기능을 리스크관리본부로 격상시켜 현장관리를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세부적으로 이훈복 전무가 사업총괄 직책을 새롭게 담당하게 되며 주택건축사업본부장에 김창환 전무, 플랜트사업본부장에 조승일 상무, 리스크관리본부장에 백정완 상무 등이 보임됐다. 한편 CFO(최고재무책임자) 직무대행은 조인환 상무가 맡게 된다.
대우건설은 이미 매각 공고 이후 첫 조직개편을 단행했던 작년 12월 기존 14본부, 118팀에서 11본부, 101팀의 현재 규모로 축소된 바 있다. 대우건설은 최근 임원진을 대상으로 이미 사표 수리에 들어간 상태이며, 이번 개편은 작년 못지않은 고강도 슬림화 개편이라는 것이 업계의 시선이다.
산업은행 관계자는 "통상적으로 11~12월 정도에 조직개편이 이뤄지는 것이 맞지만, 대우건설의 경우 매각 임박이라는 특수성이 작용해 신규 대표이사 선임과 함께 개편 작업이 단행됐다"며 "개편을 통해 보직이 사라지는 임원진은 자연스럽게 퇴임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대우건설의 조직개편에 대해 업계는 기업 군살을 제거해 매각 시장에서 팔기 좋은 매물로 내놓기 위한 사전 정지작업으로 당연한 수순이라는 반응이다.
대우건설의 매각 주간사는 미래에셋대우, BoA메릴린치, 법무법인 세종이며 이들은 현재 매도자 실사에 착수한 상태다. 매각 대상은 산은이 PEF(사모투자펀드) 'KDB밸류제6호'를 통해 확보한 대우건설 지분 50.75%다.
실질적 실사 과정을 감안한다면 오는 9월말 경 매각공고가 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PEF 만기가 오는 10월에 돌아오는 만큼 시간이 매우 촉박한 상황이다.
한 M&A(인수합병) 전문가는 "최근 대우건설의 주가가 7000원대 선을 좀처럼 벗어나지 못하고 있고, 만기 도래까지 감안한다면 현실적으로 매각이 쉽지 않다는 전망이 많다"며 "그럼에도 산은이 조직개편에 나선 것은 매물 가치를 높일 수 있는 카드란 카드는 다 써보겠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물론 보고서 결과가 최근 나왔기에 개편에 들어간 점도 있었겠지만, 이 작업이 약간 늦은 감이 있다"며 "매각에만 집중해야 하는 시기에 구조조정까지 병행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무엇보다 조직을 잔뜩 슬림화시켜놨는데, 매각이 실패할 경우에 대한 대비책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산은의 판단 하나 하나가 매우 중요해진 시점"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대우건설 노조 관계자는 "매각을 앞두고 조직의 효율성을 높이는 차원에서 임원진 중심의 개편이 이뤄졌다. 이미 올 상반기 맥킨지의 경영진단이 들어간 만큼 어느 정도 예견된 부분이어서 큰 혼란은 없다"며 "다만 조직이 흡수 및 통합되는 과정에서 일반 직원들에게 안정화 조치는 분명 필요해 보인다. 또 조직 슬림화가 안정적인 매각으로 이어질 지에 대해서도 철저히 감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