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민간에서 펼친 ‘농촌에서 휴가 보내기’ 캠페인으로 올 여름 많은 이들이 농촌을 찾았다. 필자도 평창과 봉화에서 상쾌한 공기와 시원한 강바람을 맞고, 계곡물에 몸도 담그며 재충전의 시간을 보냈다.
그러나 농촌에서 휴가를 보내고 온 지인 중에는 목적지를 향하는 길에 가축분뇨 냄새로 인해 멈칫한 순간이 있었다고 한다. 자녀들은 난생 처음 맡아본 냄새에 얼굴을 찌푸렸지만, 지인은 ‘고향의 냄새’라며 아이들을 이해시켰다.
과거 집에서 한 두 마리 정도 가축을 키우던 부업형 축산이 주류를 이루던 시절에는 분뇨는 악취덩어리 취급을 받지 않았다. 귀한 퇴비 역할을 했다.
그러나 축산이 규모화‧산업화되면서 분뇨처리 문제와 악취 등 각종 민원을 일으키는 산업이라는 부정적인 면이 부각되고 있다.
최근 축산으로 인한 민원발생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것은 ‘축산냄새’와 관련된 것이다. 환경부 자료에 따르면 2014년 2838건에서 2015년 4323건으로 크게 증가했다.
축산냄새란 축사와 가축분뇨 퇴·액비화 시설에서 발생된 기체상태의 물질로 사람의 코를 자극해 불쾌감과 혐오감을 주는 냄새로 정의할 수 있다.
축산냄새의 원인은 단백질 사료 급여, 축사와 퇴·액비화 시설의 비정상적 운영, 그리고 축사 내·외부 청소 불량 등이다.
많은 가축 농가들이 축산냄새의 원인을 줄인 시설로 변경해 깨끗하게 운영하지만, 일부 축산농가에서 아직까지 이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축산냄새 줄이기는 관련기술개발, 정책시행, 농가인식이라는 3박자가 조화를 이뤄야 가능하다. 이 중 하나라도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 해결이 불가능하다.
먼저 기술개발은 개별 농장환경에 맞는 전 주기적 복합기술을 개발‧보급해야만 한다. 우리나라 축산 농가는 각기 다른 축산시설과 사양관리, 경영형태를 띠고 있어 모든 농가에 표준화된 하나의 기술을 적용하는 것은 무리다.
양돈농가의 경우, 돈사와 가축분뇨 퇴·액비화시설이 별도로 갖춰졌고, 냄새저감 시설의 경우에도 축사내 창의 유무와 함께 환기방법이 다양하다. 이에 따라 한가지 기술로 모든 축산냄새를 제어하는 것은 어렵다.
정책은 국민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시급한 문제부터 해결될 수 있도록 우선 순위를 정하고 시행해야 한다. 축산냄새 민원이 급속히 증가한 것은 이 문제의 시급성을 말해준다.
산업계에서는 개방형 돈사를 밀폐형 돈사로 개선할 때 축산냄새를 가장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농식품부 보고에 따르면 밀폐형 돈사에서는 온습도 등 환경조절이 가능해 폐사율이 개선되고, 가축비와 방역 치료비가 줄어 경영개선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농가에서는 비용문제로 시설개선을 주저하기 때문에 정부가 나서 밀폐형 돈사가 경영개선에 도움을 준다고 홍보하고, 돈사밀폐 및 냄새개선 시설에 지원한다면 효율적으로 축산 냄새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농가는 관리자와 가축 건강을 이롭게 하고, 지역사회 환경을 개선하는 것이 ‘냄새 저감’에서 시작된다는 것을 인식해 축사 내‧외부를 깨끗이 정리하는 등 적극적인 관심과 행동을 보여야 한다.
축산냄새를 줄이고 축사환경을 개선하는 것은 단기간에 이룰 수 없다. 우선 기술개발자, 정책당국, 축산농가가 협력해야 한다. 이런 바탕 위에 국민들도 축산냄새에 대한 혐오감을 표시하기보다, 가축사육 방식을 이해하고 개선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함께 고민해야 한다.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간다고 하지만, 어려운 문제일수록 머리를 맞대는 지혜가 필요하다.
그러나 농촌에서 휴가를 보내고 온 지인 중에는 목적지를 향하는 길에 가축분뇨 냄새로 인해 멈칫한 순간이 있었다고 한다. 자녀들은 난생 처음 맡아본 냄새에 얼굴을 찌푸렸지만, 지인은 ‘고향의 냄새’라며 아이들을 이해시켰다.
과거 집에서 한 두 마리 정도 가축을 키우던 부업형 축산이 주류를 이루던 시절에는 분뇨는 악취덩어리 취급을 받지 않았다. 귀한 퇴비 역할을 했다.
그러나 축산이 규모화‧산업화되면서 분뇨처리 문제와 악취 등 각종 민원을 일으키는 산업이라는 부정적인 면이 부각되고 있다.
최근 축산으로 인한 민원발생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것은 ‘축산냄새’와 관련된 것이다. 환경부 자료에 따르면 2014년 2838건에서 2015년 4323건으로 크게 증가했다.
축산냄새란 축사와 가축분뇨 퇴·액비화 시설에서 발생된 기체상태의 물질로 사람의 코를 자극해 불쾌감과 혐오감을 주는 냄새로 정의할 수 있다.
축산냄새의 원인은 단백질 사료 급여, 축사와 퇴·액비화 시설의 비정상적 운영, 그리고 축사 내·외부 청소 불량 등이다.
많은 가축 농가들이 축산냄새의 원인을 줄인 시설로 변경해 깨끗하게 운영하지만, 일부 축산농가에서 아직까지 이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축산냄새 줄이기는 관련기술개발, 정책시행, 농가인식이라는 3박자가 조화를 이뤄야 가능하다. 이 중 하나라도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 해결이 불가능하다.
먼저 기술개발은 개별 농장환경에 맞는 전 주기적 복합기술을 개발‧보급해야만 한다. 우리나라 축산 농가는 각기 다른 축산시설과 사양관리, 경영형태를 띠고 있어 모든 농가에 표준화된 하나의 기술을 적용하는 것은 무리다.
양돈농가의 경우, 돈사와 가축분뇨 퇴·액비화시설이 별도로 갖춰졌고, 냄새저감 시설의 경우에도 축사내 창의 유무와 함께 환기방법이 다양하다. 이에 따라 한가지 기술로 모든 축산냄새를 제어하는 것은 어렵다.
정책은 국민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시급한 문제부터 해결될 수 있도록 우선 순위를 정하고 시행해야 한다. 축산냄새 민원이 급속히 증가한 것은 이 문제의 시급성을 말해준다.
산업계에서는 개방형 돈사를 밀폐형 돈사로 개선할 때 축산냄새를 가장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농식품부 보고에 따르면 밀폐형 돈사에서는 온습도 등 환경조절이 가능해 폐사율이 개선되고, 가축비와 방역 치료비가 줄어 경영개선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농가에서는 비용문제로 시설개선을 주저하기 때문에 정부가 나서 밀폐형 돈사가 경영개선에 도움을 준다고 홍보하고, 돈사밀폐 및 냄새개선 시설에 지원한다면 효율적으로 축산 냄새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농가는 관리자와 가축 건강을 이롭게 하고, 지역사회 환경을 개선하는 것이 ‘냄새 저감’에서 시작된다는 것을 인식해 축사 내‧외부를 깨끗이 정리하는 등 적극적인 관심과 행동을 보여야 한다.
축산냄새를 줄이고 축사환경을 개선하는 것은 단기간에 이룰 수 없다. 우선 기술개발자, 정책당국, 축산농가가 협력해야 한다. 이런 바탕 위에 국민들도 축산냄새에 대한 혐오감을 표시하기보다, 가축사육 방식을 이해하고 개선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함께 고민해야 한다.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간다고 하지만, 어려운 문제일수록 머리를 맞대는 지혜가 필요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