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09/06/20170906165336893209.jpg)
카허 카젬 한국GM 사장이 6일 한국GM 부평본사 디자인센터에서 열린 미디어 행사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한국GM 제공]
카허 카젬 한국GM 사장은 6일 “한국은 전세계 쉐보레 시장 중 다섯번째로 큰 시장이자 빠르게 성장하는 시장 중 하나”라며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는 한국GM 철수설을 일축했다.
카젬 사장은 이날 한국GM 부평본사 디자인센터에서 열린 미디어 행사에서 "우리 사업과 관련한 많은 기사와 시중의 소문을 확인하고 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지난 1일 취임한 그가 한국 취재진들과 만나 철수설에 대해 공식 해명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카젬 사장은 “사업 경쟁력 회복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며 "여기에는 수익성과 경쟁력을 향상하기 위한 다양한 회사 내.외부 관계자들과의 협업이 밑바탕이 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GM은 현재 장기적 관점에서 수익성과 사업 성과를 이끌어내는 한편 성장 가능성의 기회 관점에서 최적의 시장에 진출해 있다”며 “여기에 한국이 포함된다”고 강조했다.
또 “한국GM은 차량 생산과 디자인, 연구개발 측면에서 글로벌 사업 운영의 중요한 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며 “특히 디자인센터는 한국GM의 경쟁력과 역량을 입증한다”고도 했다.
한국GM 디자인센터는 글로벌 GM 내 북미에 이어 두 번째로 큰 규모를 갖춘 곳으로 글로벌 디자인 네트워크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180여명의 분야별 디자인 전문가들이 쉐보레를 비롯해 GM의 주력 제품 디자인 프로그램에 참가하고 있다. 경차 스파크부터 소형SUV 트랙스, 전기차 볼트EV 등의 디자인을 한국GM 디자인센터에서 주도적으로 이끌었다.
카젬 사장은 “한국 직원들의 높은 수준의 디자인 감각과 실행능력은 전세계적으로 높게 평가받고 있다”고 치켜세웠다.
앞서 카젬 사장은 지난 5일 부평본사에서 열린 ‘경영현황 설명회’에서도 “누적된 적자폭을 줄여 장기성장의 발판을 마련하자”며 “앞으로 모든 경영 활동의 중심을 수익증가와 비용절감에 두겠다”며 경영정상화에 대한 강한 의지를 드러냈다.
그러면서 “일각의 철수설 우려 때문에 걱정이 많겠지만 모든 것은 우리가 하기에 달렸다”며 “모두가 한 뜻으로 해나간다면 수익을 내는 사업장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업계 일각에서는 한국GM의 철수설이 제기되어 왔다. 3년 연속 적자로 누적 적자가 2조원에 달하는데다 다음달 16일 GM 본사가 보유한 한국GM 지분 매각 제한 해제 시점이 다가오고 있어서다.
2대 주주인 산업은행도 공식 보고서를 통해 “GM 본사가 철수를 결정하더라도 사실상 막을 방법이 없다”며 한국GM의 국내 철수 가능성을 시사한 바 있다.
이런 가운데 한국GM 노조는 지난 5일 인천 부평공장 내 조립사거리에서 중앙쟁의대책위원회를 출범하고 주·야간조 4시간씩 부분 파업을 벌였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09/06/20170906165711311444.jpg)
카허 카젬 한국GM 사장이 6일 한국GM 부평본사 디자인센터에서 열린 미디어 행사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한국GM 제공][사진=한국GM 제공]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