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09/13/20170913162643958814.jpg)
[사진 = 배석규 칼럼니스트]
▶ 전쟁 틈틈이 대규모사냥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09/14/20170914144830584958.jpg)
[사진 = 호레즘 원정 중 사냥]
1206년 몽골 고원을 통일하고 서하와의 전쟁에 나서기 전에도 대규모 사냥에 많은 시간을 할애했다. 뿐만 아니라 이슬람과의 전쟁이 계속되던 중에도
무하마드 샤의 추격에 나선 제베와 수베타이가 그 결과를 알려올 때까지 우르겐치와 타쉬겐트 부근에서 무려 4개월 동안 사냥을 하면서 군사들의 전투력을 다졌다.
▶ 전투나 마찬가지인 사냥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09/14/20170914145226203221.jpg)
[사진 = 초원의 차강제르]
사냥과정에서의 규율도 전투 때의 군율과 마찬가지로 엄격히 적용됐다. 칸이 주도하는 사냥은 평시에는 주로 가을부터 봄까지 이루어진다. 하지만 전쟁기간 등 비상시에는 계절에 상관없이 진행됐다.
▶ 사냥 중 짐승을 놓치면 처벌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09/14/20170914145552137242.jpg)
[사진 = 초원의 말떼]
짐승몰이를 하는 동안에는 짐승들이 대열 사이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면서 미리 의도한 방향으로 몰아가기만 하면 된다. 짐승을 몰다가 놓치게 되는 병사는 이를 무척 수치스럽게 생각하게 되는 것은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처벌받는 경우까지 생겨났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09/14/20170914145636320350.jpg)
[사진 = 초원의 까마귀]
칭기스칸의 대자사크도 "사냥 중 짐승을 놓친 사람은 태형에 처하거나 심한 경우 사형에 처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래서 일단 짐승몰이가 시작되면 병사들은 사냥 대상물인 동물들이 포위망을 뚫고 달아나지 않도록 하는 데 모든 역량을 동원했다.
▶ 포위망 안은 야생동물원이나 마찬가지
낮에는 짐승을 몰아가고 밤에는 대열을 구축해 일단 포위된 짐승들이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철저히 경계한다. 그래서 밤에는 전시와 마찬가지로 모닥불을 피우고 곳곳에 보초를 세워 놓은 뒤 간부들이 쉴 새 없이 순찰을 돌면서 경계상태를 확인했다. 넓은 지역에서 사냥을 할 경우 사전에 계획한 지점에 짐승들을 몰아넣는 데 한 달 이상이 소요되는 경우도 있다. 거의 도착 지점에 이르면 군사들이 대열을 좁혀가며 짐승들을 한곳으로 몰아간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09/14/20170914145016711440.jpg)
[사진 = 호레즘지역 맹수 사냥]
그 임무를 수행하려다 맹수에게 공격받아 부상을 당하거나 어떤 때는 희생되는 경우도 생긴다.
▶ 동물 살상은 칸이 먼저 시작
짐승들을 한 곳으로 몰아넣는 일이 마무리되면 본격적인 살육이 시작된다.
동물에 대한 살상은 칸이 가장 먼저 하게 돼 있다. 칭기스칸이 모여 있는 짐승 가운데 가장 사나운 맹수에게 활을 쏘는 것이 바로 무기를 사용해 살육전을 펼쳐도 좋다는 신호가 된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09/14/20170914145514253441.jpg)
[사진 = 몽골하늘의 매]
그리고 사냥 과정에서의 잘한 점과 잘못한 점을 지적하고 실제 전투에서 이를 어떻게 적용할지를 설명해 준다. 이어 큰 잔치를 베풀어 병사들을 위로하는 것으로 사냥행사를 끝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