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른 군대에게 승리를 엮어내도록 만든 여러 가지 요인이 있겠지만 그 가운데서도 전투 과정에서 가장 큰 힘을 발휘한 것이 전리품의 공정한 분배다. 이는 재화의 공정한 분배를 당연하게 생각하는 칭기스칸의 생활태도가 만들어낸 성과다. 타타르족과 싸운 달란 네무르게스 전투에서 제시한 이 실험적인 조치로 푸른 군대는 어려운 싸움을 승리로 이끌 수 있었다.
전리품의 획득은 유목민들이 전쟁에 나서는 가장 큰 목적 가운데 하나다. 그런 만큼 싸움에 나서는 병사들의 머리에는 전투가 끝난 뒤 챙길 전리품에 대한 생각이 항상 가득 차 있다. 그러다 보니 전투 과정에서도 전리품 때문에 지체하게 되고 정신이 딴 곳에 팔려 목숨까지 잃는 일이 허다했다.
▶ 불문율 된 재화의 공정한 분배
전리품의 공정한 분배를 약속한 타타르와의 전투이후 재화의 공정한 분배는 푸른 군대의 불문율이 됐다. 병사에서부터 장수 심지어 칭기스칸에 이르기까지 별 차이가 없는 공정한 분배는 서로에 대한 믿음을 그 바탕에 깔고 있었다. 서로에 대한 믿음이 높아 이른바 신용의 바탕이 마련된 조직은 그만큼 배가된 힘을 발휘할 수 있었다.
▶ 분배 원칙 위반 땐 아들도 용서 못해
실제로 재물을 함부로 나눠 가진 세 아들도 그냥 두지 않으려 했던 경우가 몽골비사 260장에 기록돼 있다.
칭기스칸이 세 아들을 '땅으로 꺼져 들도록'엄하게 꾸짖은 것은 자기 몫의 재물을 중시했기 때문이 아니라 공정한 분배라는 믿음의 원칙을 저버렸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 충성․은혜 보답도 공정한 분배 원칙
칭기스칸은 이들 한 사람 한 사람의 공을 일일이 열거하며 은전을 베풀었다. 또한 전사한 너흐르들의 부인과 자식들 가족들에게도 물적 심적 보상을 해주는데 게을리 하지 않았다. 카라칼지트 전투에서 숨진 영웅 코일다르 세첸의 가족에게 자자손손 잘 살 수 있도록 조치한 것 등이 그 것이다. 자신이 부하들로부터 도움을 받았으니 부하들에게 베풀어주는 것이 당연하다는 생각도 어쩌면 공정한 분배라는 의식을 그 밑바닥에 깔고 있는 것이 아닐까?
▶ 뿌리 깊은 복수 의식
복수는 사람에게서 떼어놓을 수 없는 개념이기는 하지만 특히 유목민들에게는 가장 기본적인 의무 가운데 하나다. 당대에 복수하지 못하면 그 다음 대에 가서라도 마무리지어야할 의무로 남겨진다. 테무진의 아버지 예수게이에게 신부를 빼앗겼던 메르키드족이 오랜 세월을 기다려 테무진의 부인 부르테를 납치해간 사례는 유목민들의 일반적인 복수의식을 짐작케 해준다.
▶ 죽음으로 이어진 복수 집념
선조 암바가이칸을 목 박아 죽게 만들고 자기의 아버지 예수게이를 독살한 타타르족에 대해서는 수레에 키를 대보게 한 뒤 거의 모두 처참하게 살해했다. 자신을 포로로 잡아갔던 타이시우드족은 재조차 남기지 않고 말살했다.
▶ 적장에 대한 배신도 용서하지 않아
인간 칭기스칸에게서 나타나는 또 하나의 특징은 배신자에 대한 혐오감이다.
자신에 대한 배신은 말할 것도 없지만 적이라도 자신의 군주를 배신할 경우 용서하지 않았다. 자모카를 잡아다 바친 자모카의 부하들은 그 즉시 처형됐다. 대신 비록 적일지라도 자신의 군주나 군을 위해서 끝까지 용감하게 싸우는 사람에 대해서는 충성심이나 용맹성을 높이 평가하며 대우했다.
활로서 칭기스칸이 탄 말을 쓰러뜨리며 용감하게 싸운 제베는 칭기스칸으로부터 인정을 받고 가장 측근의 용맹한 전사로 거듭났다. 케레이트족을 위해 최후까지 분전한 바아투르도 칭찬과 함께 오히려 중요한 자리에 기용됐다.
▶ 개와 어머니가 가장 두려웠던 칭기스칸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