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공정기업을 감시해야 할 공정위가 오히려 불공정했다는 비난을 받아온 만큼,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을 필두로 한 ‘공정위 바로세우기’가 본격화됐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지난 7월 발표한 공정위 신뢰제고 추진과 관련, 내부의견 수렴과 국회 토론회 등을 거쳐 추진방안을 마련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에 추진되는 방안은 △조사과정 공개 및 민간참여 기회 확대 등 절차의 투명성 제고 △사건이 신속히 처리될 수 있도록 하는 내부통제 시스템 강화 △외부에 의한 사건 왜곡을 차단하기 위한 공직윤리 강화로 요약된다.
사건처리 전과정을 실시간으로 관리하고, 사건을 부적절하게 처리한 관리자에 대해 엄중 문책한다. 다발성 민원 등 사회적 이슈 사건과 시장지배적 지위남용, 카르텔(담합) 등 복잡한 사건 위주로 팀제를 선별적으로 운영해 내부통제를 강화한다는 것.
또 △직무관련자 사적 접촉 금지와 위원 면담 과정 기록 △재취업심사 대상 확대 △정보유출 쌍방 제재 강화 등으로 공직자의 윤리적 판단 수위를 높인다.
공정위 내부 조직의 신뢰 회복은 김상조 위원장이 취임식에서도 강조한 바 있다.
김 위원장은 취임사에서 “공정위는 다른 어느 정부부처보다도 높은 윤리의식과 청렴성이 요구된다”며 “국민이 공정위에 요구하는 도덕적 잣대가 엄격해졌다”고 말했다.
이번 공정위의 신뢰방안 발표는 독과점 등 불공정거래를 해온 대기업을 향한 전방위적인 조사와 관리에 앞서 명분을 다지려는 의도로도 풀이된다.
공정위 고위 간부는 “앞으로 남은 것은 독과점 기업이 될 것”이라며 시장독점 대기업 사정을 예고했다.
이렇다보니 이후 대기업의 전략적인 대응에 맞서기 위해 공정위 조직의 기강부터 바로잡아야 한다는 인식이 조직내부에서 확산되는 분위기다.
다만 기존 관행을 없애는 데한계를 드러낼 수 있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한 기업 관계자는 “최근 공정위의 행보를 통해 신고하면 바로잡을 수 있다는 인식은 확산됐다”면서도 “공정위에 대한 반발이 일부 나타나는 상황에서, 대기업에 대한 조사가 잘 될 수 있을 지 살펴봐야 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