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금융감독원 등에 따르면 국내 금융회사의 총자산은 2004년 1580조원에서 지난해 4969조원으로 3배 이상 뛰었다. 국내 증권시장에 상장된 주식의 시가총액도 444조원에서 올해 5월 기준 1510조원으로 3배 이상 확대됐다. 또 은행들의 기업대출은 283조원에서 776조원으로 2.7배, 가계대출은 282조원에서 617조원으로 2.2배 늘었다.
금감원 관계자는 "국내 금융산업과 금융시장은 양적으로 크게 성장했다"며 "규모 등 외형적 측면에서는 선진국 수준이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금융산업의 내실은 여전히 미흡한 것으로 조사됐다.
전체 산업에서 차지하는 금융권 취업자 비중은 2012년 3.6%에서 2013년 3.4%, 2014년 3.2%로 점차 줄어 2015년과 2016년에는 3.1%에 머물렀다. 양질의 일자리가 많은 금융권이지만, 고용창출 능력은 갈수록 떨어지는 셈이다.
금융산업의 부가가치가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12년 6.4%에서 2015년 5.0%로 하락했으며, 지난해애는 4.9%까지 떨어졌다. 2013년 기준 GDP 대비 부가가치 비중(5.1%)은 싱가포르(11.9%), 영국(6.6%), 미국(6.5%), 일본(6.1%) 등에 미치지 못했다.
소득 하위 40% 계층의 금융회사 대출 경험으로 보여주는 '금융 포용성 지표'도 우리나라는 13.2%로 미국(23.2%), 영국(22.3%), 싱가포르(16.6%) 등과 비교해 한참 낮았다.
금감원 관계자는 "가계대출에 치중하고 중소기업대출은 담보·보증 위주로 취급하는 등 '보신주의'가 여전하다"며 "새 정부의 금융정책 기조인 '생산적 금융'과 '포용적 금융'이 활성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