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 인상 시기를 놓고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금리역전이 현실화되면 한은도 국내 기준금리 인상을 준비하겠지만, 북한 리스크의 장기화로 경기둔화 우려가 커지고 있고 1400조원에 달하는 가계부채도 부담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 더구나 최근 경기회복 추세가 주춤하는 양상을 보이는 등 성장 전망이 불확실하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한국은행이 내년 상반기는 돼야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내다봤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올해 안에 금리를 올릴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라 한은 통화정책에 대한 변경 압력이 이어지겠지만, 한은 입장에서는 인상에 신중을 기할 전망이다.
당초 수출 증가와 물가상승이 이어지면서 지난 6월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시사했지만 이후 경기회복세가 주춤하고 북핵 리스크 등이 불거지자 경기상황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는 상황이다.
무엇보다 경기 회복세가 둔화되고 있다.
통계청이 지난달 발표한 '8월 산업활동 동향'에 따르면 소비는 3개월만에 감소세로 돌아섰고 설비투자도 2개월 연속 줄어들었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두 달째 상승세가 꺾였고, 기업경기실사지수(BSI) 10월 전망치도 떨어졌다.
한동안 유지해온 통화 완화정책을 긴축으로 바꿀 만한 경기회복의 뚜렷한 신호가 잡히지 않는 가운데 미국 연준이 정책금리 인상에 이어 보유자산도 줄이기로 하면서 한은의 기준금리 셈법이 더욱 복잡해진 것이다.
재닛 옐런 연준 의장은 지난달 26일(현지시간) 매파적인 발언을 내놓으면서 빠르면 12월 기준금리가 인상될 것으로 보인다. 올해 이미 두 차례 기준금리를 인상한 미국의 기준금리는 상단이 1.25%로 한국과 같다.
유럽중앙은행(ECB)도 10월 통화정책회의에서 자산축소 계획을 밝힐 예정이고, 영국의 영란은행(BOE)도 조만간 긴축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금융권 관계자는 "한국은행이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움직임, 북한 리스크, 가계부채 등의 문제로 기준금리 인상에 신중을 기하고 있다"며 "글로벌 중앙은행들이 긴축기조를 본격화하면 금융시장 불안정성이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