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문재인 정부가 채택한 혁신성장전략이 4차산업혁명 이어서 그 심각성을 더해 주고 있다.
문재인 정부의 경제패러다임은 ‘사람중심의 경제’로 △소득주도 성장 △혁신성장 △공정경제가 3가지 축을 이루고 있다.
이중 혁신성장 부문과 관련해 정부는 4차산업혁명과 관련된 산업을 육성하는 한편 중소·벤처기업 성장지원에 집중하는 정책을 펼치고 있다.
이는 △미국 99.8점 △유럽연합 92.3점 △일본 90.9점등과 비교해 크게 뒤지고 있는 실정인데다, 중국은 68.1점으로 분석돼 우리와의 격차가 채 10점도 되지 않으면서 우리를 턱밑까지 추격하고 있는 상황이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10/13/20171013105054274101.gif)
4차산업혁명[사진=산업자원통상부 제공]
현대경제연구원은 이번 연구의 실례로 우선 4차산업혁명 관련 특허등록 건수의 경우 2013년 기준으로 미국과 일본,유럽 특허청에 모두 등록된 특허는 △일본=5289건 △미국=5250건 △독일=1127건인데 반해 △한국=750건 △중국=674건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한국이 미국 및 일본과 비교해서는 1/7수준인데 반해 중국과는 큰 차이가 없다는 것인데 주목할 것은 IT서비스 부문에서는 중국이 153건으로 한국의 134건보다 오히려 더 많은 실정이다.
R&D 투자액과 관련해서도 한국은 IT서비스와 바이오·의료·서비스,통신서비스등 신산업분야 투자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산업별 최대 투자국 대비 투자액 비율이 △전자43.1%였지만 △IT서비스 1.7% △바이오·의료 2.3% △통신서비스 13.1%에 불과한 실정이다.
연구인력의 경우도 대부분 제조업에 몰려 있고 IT와 통신서비스부문 인력비중은 4.5%수준에 그치고 있고 그나마 IT분야 인력중 고급인력비중은 9.5%로 32.4%인 미국은 물론 20.2%인 중국에도 크게 뒤처지는 상황이다.
이와관련 현재경제연구원은 관계자는 “우리의 4차산업혁명은 미국과 일본, 중국사이의 샌드위치 신세”라며 “이를 극복하는 길은 R&D투자가 부진한 IT 와 통신서비스 그리고 바이오·의료부문의 투자확대를 유도하고 세제측면의 다양한 혜택을 검토하는등 대책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