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당 이찬열 의원(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은 16일 중소벤처기업부 국정감사 자료를 통해 8개 산하기관 중 중소기업중앙회를 제외한 7개 기관에서 채용부정이 적발됐다고 꼬집었다. 또한 부정채용, 제도부실 운영 등으로 최종합격된 합격자는 6개 기관, 39명으로 확인됐다.
이 의원이 꼬집은 각 기관 별 사례를 보면, 우선 중소기업진흥공단은 중진공 청년인턴 근무경력자에 대한 추가적 가점부여 및 내부 평가위원만으로 진행되는 면접방식이 중진공 청년인턴 근무경력자에 대한 채용 특혜 문제를 야기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또 중소기업연구원은 공개경쟁이 아닌 비상임감사 이사회 이사장(중소기업중앙회장)이 추천한 이를 3년간 비상임이사로 선임한 것이 드러났다.
신용보증재단중앙회는 ‘인사규정’ 제13조(응모자격) ‘직원채용 자격요건’에 신용보증‧금융기관에 근무한 자 등 경력자만 응시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으나 비경력자도 신규직원으로 채용했다. 또한 최종 합격자는 종합성적순위로 최종 합격자를 결정하도록 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최종 평가인 면접평가 점수만으로 최종 합격자를 결정한 것이 밝혀졌다.
중소기업유통센터는 이해관계자 제척절차 규정이 없고 평가의 적정성이나 점수합계의 오류를 사전에 발견할 수 있는 평가점수 합계표(위원별 평가점수, 집계한 자 서명 포함 등)를 작성하지 않았다.
한국벤처투자는 당초 채용 계획과는 달리 분야 및 채용인원을 변경해 채용하고, 외국어에 대한 우대가 아닌 계획에 없는 일정점수 미만자를 탈락시켰고, 근거 없는 가점을 적용해 인턴을 채용한 것이 드러났다.
대‧중소기업협력재단은 인력 수급 계획을 세우지 않은 상태에서 2013년부터 2015년까지 공개 경쟁시험을 실시했다. 이 기간 동안 직원 채용이 총 5회가 실시됐음에도 이중 4회의 경우 서류‧필기‧면접의 평가표를 보관하지 않았다. 또한 특별채용을 하는 과정에서도 위원장 및 사무총장의 면접만으로 채용이 이뤄졌고, 이와 관련한 평가표나 세부 계획은 작성되지 않은 채로 채용해 문제가 됐다.
이찬열 의원은 “중기부는 채용과 관련된 명확한 가이드라인 등을 만들어 산하기관에 배포하고, 해당 기준이 엄격하게 지켜지는 지 상시 감사 제도를 안착시켜 채용부정의 뿌리를 뽑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