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9월 생산자물가 잠정치는 102.81로 8월보다 0.5% 올랐다. 7월부터 세 달 연속 상승이다. 또 2014년 12월(103.11) 이후 2년 9개월 만에 최고치다.
지난해 9월에 비해선 3.6% 올랐다. 전년동기대비로는 11개월 연속 상승세다.
9월 생산자물가가 상승한 건 국제유가 상승 영향이 크다는 분석이다. 한은 관계자는 "석유제품과 1차 금속제품 중심으로 올랐다"며 "국제가격이 상승한 영향을 많이 받았다"고 설명했다.
분류별로 보면 8월 4.6%까지 올랐던 농림수산품이 9월엔 0.3%를 기록하며 상승률이 둔화됐다. 마른고추(86.6%), 토마토(24.9%), 배추(23.6%) 등이 급등한 반면 달걀(-23.9%), 닭고기(-9.5%), 돼지고기(-0.8%)는 내렸다.
공산품은 0.8% 상승했다. 경유(5.6%), 나프타(9.4%), 휘발유(7.4%), 등유(6.5%) 등 석유제품의 상승폭이 컸다.
서비스 부문 생산자물가는 전달과 같은 0.0%로 집계됐다. 음식점·숙박(-0.3%), 운수(-0.2%)가 하락한 가운데 사업서비스(0.2%), 금융·보험(0.1%)은 소폭 증가했다.
아울러 국내 공급물가지수는 97.91로 0.8% 올랐다. 이는 물가변동의 파급과정 등을 파악하기 위해 국내에 공급되는 상품 및 서비스의 가격변동을 측정한 지수다. 수출품까지 포함한 총산출물가지수(99.21)는 0.6% 증가를 기록했다. 국내공급물가지수는 2개월째 올랐고 총산출물가지수는 3개월 연속 상승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