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개인 맞춤형 미세먼지 대응 요령을 문자메시지로 받아 볼 수 있는 서비스가 시작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한국정보화진흥원(NIA), KT와 함께 빅데이터 기반의 국민 체감형 미세먼지 대응 서비스를 구축했기 때문이다.
과기정통부는 '2017년 빅데이터 플래그십 프로젝트'를 통해 전국 97개 시·군에 설치된 323개 측정소에서 한 시간 간격으로 한국환경공단의 에어코리아를 통해 미세먼지 대응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6일 밝혔다.
이번에 구축된 ‘빅데이터 기반 국민 체감형 미세먼지 대응 서비스’는 올해 말부터 제주도, 창원시, 광명시에 시범적으로 적용된다. 해당 지역의 기존 측정소 15곳 외에 통신사 기지국 등에 수수십 미터에서 수백 미터 간격으로 촘촘히 설치한 115개의 사물인터넷(IoT) 기반 소형 공기질측정기 정보를 활용해 음영지역 없는 실시간 미세먼지 관측이 가능하다.
과기정통부는 올해 시범사업 성과를 바탕으로 지차체·KT 등 민관과 협력하여 미세먼지 대응서비스 제공지역의 전국 확대를 지원한다. 또한, 소형 공기질측정기 데이터를 정부 및 지자체 등과 공유해 쾌적한 대기환경 조성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KT는 우선 내년 1분기까지 서울 및 6개 광역시 주요 거점 1500곳에 미세먼지 측정기를 설치한다.
최영해 과기정통부 인터넷융합정책관은 “빅데이터 플래그십 프로젝트로 대기·환경 분야까지 빅데이터 활용범위를 넓혀 미세먼지 대응을 기대할 수 있게 됐다”고 강조하며, “앞으로 국민들이 미세먼지로 인한 걱정과 불편을 줄여 나갈 수 있도록 지원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