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거복지 로드맵 첫 주말] 성남 금토·복정, 남양주 진접2, 개발 기대감에 들썩

  • - 성남 금토동 사실상 서울권...다가구 주택 매맷값 3.3㎡ 당 2800원

  • - 진접2, 4호선 연장 등 겹호재..."수용 반대 주민반발 변수"

정부가 8년 만에 수도권 인근 그린벨트를 풀어 신규 공공택지로 새롭게 조성키로 하면서 해당 지역 부동산이 들썩이고 있다.

국토교통부가 지난달 29일 내놓은 '주거복지 로드맵'을 보면 정부가 우선 공개한 그린벨트 해제 지역 9곳 가운데 성남 금토·복정, 의왕 월암, 구리 갈매역세권, 남양주 진접2, 부천 괴안·원종, 군포 대야미 등 8곳이 수도권이다.

이미 몇 달 전부터 택지지구 개발에 대한 소문이 퍼지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이를 공식화하면서 개발 기대감이 점차 부풀어 오르는 모습이다.
 

판교창조경제밸리가 조성되고 있는 경기 성남시 금토동 옆 그린벨트 지역에 비닐하우스가 늘어서 있다. [사진=오진주 기자]


◆ 성남시 '금토·복정'··· "매물 나오면 바로 팔려"

"위례신도시가 조성될 때 매맷값이 함께 올랐습니다. 지금도 매물이 나오면 바로 팔립니다. 앞으로 더 오를 겁니다."(성남시 수정구 복정동 I공인중개업소 관계자)

성남시 복정동은 9곳 가운데서도 학군과 교통 등 이미 상당한 인프라를 갖춘 지역에 속한다. 복정동의 경우 64만6000㎡ 규모 부지에 총 4700여 가구가 들어선다.

지난 1일 방문한 지하철 복정역 인근에는 다가구 주택과 빌라가 골목마다 늘어서 있었다. 키 낮은 다가구 주택 사이에 서서 북쪽을 바라보면 반듯한 새 아파트가 빼곡하게 찬 위례신도시가 한눈에 들어온다.

정부의 이번 발표 전에도 복정동 다가구 주택의 매맷값은 계속 상승세를 타고 있었다는 것이 인근 공인중개업자들의 설명이다. I공인중개업소 관계자는 "지금 복정동 다가구 주택 평균 매맷값이 3.3㎡당 2800만원 정도"라며 "강남까지 30분 안에 진입할 수 있어 서울권이라고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복정동에서 가장 유력한 개발지로 꼽히는 곳은 동서울대와 가천대 글로벌캠퍼스 뒤쪽에 위치한 안골마을과 샘골, 넓은골 등이다. 인근 H공인중개업소 대표는 "성남시가 도시계획을 공개할 때 그린벨트가 풀리는 것으로 예정된 곳 중 하나였기 때문에 이미 땅을 사놓은 사람들이 있다"며 "최근 안골마을 땅을 파는 이들도 있다"고 말했다.

같은 수정구에 있는 금토동은 바로 앞에 위치한 판교동을 제외하고는 일대가 모두 허허벌판이다. 현재 판교분기점 옆에 '판교창조경제밸리'가 조성되고 있어 금토동이 신규 택지로 선정됐을 때 이 일대가 또 다른 판교가 되는 것 아니냐는 전망이 나왔다.

특히 금토동은 국토부가 주거복지 로드맵을 발표한 다음날 남경필 경기도지사가 이 일대를 오는 2022년까지 제3의 판교 테크노밸리로 조성하겠다고 밝히면서 더 주목을 받았다. 금토동은 네이버, 카카오 등 국내 IT기업이 입주한 판교역에서 불과 10분가량 떨어진 곳이지만 그린벨트로 묶여 비닐하우스와 컨테이너 박스만 군데군데 서 있었다.

◆ 진접2지구, 4호선 연장 맞물려 기대감 ↑··· 주민 반대 변수

남양주 진접2지구의 경우 4호선 연장 등 기반시설 확충과 맞물려 지역 부동산 시장에서 훈풍이 불 것이란 기대감이 키지고 있다.  
 

남양주시 진접읍 내각리 일대 모습. [사진=홍성환 기자]


인근 공인중개업소 관계자는 "이미 이전부터 택지지구 개발에 대한 이야기가 나왔기 때문에 특별하게 이전보다 문의가 늘어나거나 하지는 않았다"면서 "하지만 4호선 연장 사업이 진행 중인 상황에서 이번 택지 개발 계획이 공식 발표되면서 앞으로 수요가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진접2지구는 남양주시 진접읍 내각리와 연평리 일대 129만2000㎡ 부지로 이번에 발표된 신규 택지 가운데 면적이 가장 넓다. 특히 이 지역에서는 당고개에서 지하철 4호선 노선을 연장하는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진접2지구는 오는 2019년 개통 예정인 별내역과 오남역 사이에 위치한다. 아울러 해당 지역 안에 지하철 역을 추가로 만드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다.

다만 현재 진접2지구에서 일부 주민들을 중심으로 사업 백지화를 요구하고 있어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이 지역에서 농사를 짓거나 공장, 창고 등을 보유한 주민들이 강제수용에 따른 낮은 보상비용에 반발하고 있다. 주민들은 반대추진위원회를 구성해 단체행동을 벌이고 있는 상태다.

앞서 남양주시는 지난 10~11월 주민공람 절차를 완료했다. 이에 전략환경영향평가, 중앙도시계획위원회 등의 심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