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한 지 3년 안에 문을 닫는 업체가 절반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 비율도 전국 평균 18%에 그쳐 5년 전보다 낮아졌다.
스타트업(start-up) 육성책 등 중소·중견 기업의 창업 지원을 강화하는 정부 정책이 겉돌고 있다는 지적과 함께 지역별로 차별화된 창업 지원 전략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4일 한국고용정보원이 펴낸 보고서 '지역별 창업에 따른 고용변동과 고용격차'에 따르면, 2011년 1분기에 창업한 사업체의 3년 생존율은 전국 평균 53.5%로 조사됐다.
고용정보원은 고용보험 데이터베이스(DB)를 토대로 2011년부터 지역별 창업 현황, 사업체 지속 기간, 고용 근로자 수 변화 등을 분석했다.
보고서를 보면 창업 회사의 3년 생존율이 가장 낮은 곳은 강원(45.4%)이었다. 이어 전남(47.1%), 전북(47.8%), 경북(48.5%) 순이었다. 반대로 3년 생존율이 가장 높은 곳은 대구와 경기로 각각 56.5%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창업한 사업체의 5년 생존율도 38.3%에 그쳤다.
강원(32.8%), 전남(34.4%), 전북(35.8%), 경북(36%) 등이 낮았고 대구(41.9%), 제주(41.8%), 경기(40.1%) 순으로 높았다.
경북과 경기 지역 내 창업 생존율이 높은 데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제조업, 가공업 등이 쇠퇴하면서 2011년부터 도매 및 소매업, 숙박 및 음식점업 등 생계형 창업이 늘어났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창업이 늘면서 덩달아 고용도 늘어 상대적으로 사업체들의 생존력도 커졌다는 게 고용정보원의 설명이다.
반면 강원과 전남·북 등은 창업은 했지만 고용성과가 저조한 탓에 3년 미만에 폐업, 생존율이 낮게 나타났다.
지난해 기준 전국 평균 창업비율도 총 135만개 사업체 중 25만7000개(18.7%)로 2011년(19.0%)보다 소폭 낮아졌다.
제주(23.2%), 강원(20.5%), 광주(19.8%)는 창업률이 높았지만 서울(17.7%), 부산(18.2%), 대구(18.3%)는 낮았다.
3년간 생존한 사업체의 평균 고용 증가분은 1.3명이었다. 지역별로는 전남(0.8명), 제주(0.9명), 강원(1명) 등이 평균치를 밑돌았다.
박진희 고용정보원 연구위원은 "강원·전남·전북·경북은 창업 생존율을 높이기 위한 정책이 시급하다“며 ”상대적으로 생존 비율이 높은 제주·경기 등도 영세 규모의 생계형 창업이 늘고 있어 고용 성장성이 큰 업종을 중심으로 창업을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창업률이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서울과 부산, 대구는 전반적으로 고용성과가 낮아 창업 활성화 전략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