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12/04/20171204171554987414.jpg)
청와대는 4일 정부의 일자리사업들이 내년 초부터 바로 집행될 수 있도록 범정부적인 재정집행 준비 체계를 조기 가동하고, 부처별 일자리과제 추진 상황을 주기적으로 점검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특히, 청년일자리 대책회의(가칭)를 별도 개최해 청년 일자리 여건을 종합평가하고, 대응 방향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 확산에 주력할 방침이라고 청와대는 밝혔다.
박수현 대변인은 이날 서면브리핑을 통해 문재인 대통령 주재 수석보좌관회의 결과를 밝혔다.
이날 회의에서 반장식 일자리수석이 ‘최근 일자리 상황 점검 및 대응방향’에 대해 보고했고 토론이 이어졌다.
박 대변인은 “앞으로 예산·세제·정부기관평가 등 일자리중심 국정운영의 성과 가시화, 공공부문의 채용 확대, 평창올림픽 및 외국인관광객 증가 등이 고용여건을 개선하겠지만, 생산가능인구 감소, 수출 및 반도체 등 자본집약 부문 중심의 성장이 취업자 증가를 제약하고 지표상 청년실업률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박 대변인은 “청년, 여성, 과학기술인력, 건설인력 등 분야별 대책과 혁신성장 선도 프로젝트들을 일자리창출과 연계하여 실효성 있게 추진하고, 일자리를 많이 늘린 기업에 ‘고용탑’을 신설·수상하는 등 모범사례 및 일자리창출 분위기 확산 방안 등이 보고됐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