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년 개최된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 방문자는 440만명에 달했다. 정원박람회가 창출한 부가가치는 6790억원, 일자리도 1만1000개를 새롭게 만들었다.
정원 디자이너들이 작품을 조성하고 전시하는 코리아가든쇼는 2014년 처음 열린 이후 매년 50만명의 관람객이 찾는 대표적인 정원행사로 자리매김했다.
산림청이 추진하는 ‘정원정책 1000일 플랜’은 그간 국민들의 욕구를 만족시키는 데 미진했던 부분을 채워주는 핵심 정책으로 꼽힌다.
최근 도심 속 자연을 찾는 사람이 많아지면서 도시숲‧도심공원‧정원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다. 이 중 정원 관련 언론보도가 2012년 678건에서 2015년 2308건으로 2.4배 증가했다는 점은 정원에 대한 국민적 관심을 대변한다.
실제 정원행사와 국가정원 방문자는 2014년 397만명, 2015년 711만명, 지난해 753명으로 급증했다.
그러나 정원산업 인프라는 크게 부족했다. 산림청에 따르면, 식물원‧수목원이 51개소인 데 비해 등록된 정원은 10개소(국가 1개소, 민간 9개소)에 불과하다.
산림청 관계자는 “정원문화 확산을 위한 시민참여 공간이 부족했다”며 “민간부문의 정원산업을 성장시킬 수 있는 인프라 역시 미흡한 게 현실”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산림청은 2015년 정원의 개념‧구분, 국가정원 지정, 정원문화 확산, 산업육성 등을 포함한 법률 개정에 착수했다.
정원정책 목표와 추진방향을 정하는 ‘제1차 정원진흥기본계획’도 마련했다. 기본계획은 정원정책 추진에 관한 최상위 추진 전략으로 5년 마다 수립된다.
특히 산림청은 정원산업 자생력을 확보하기 위해 유통‧판매체계를 마련하고, 신산업 지원으로 민간시장 활성화와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는 데 역점을 둘 방침이다.
정원 창업 지원 및 컨설팅, 정원식물‧용품의 유통‧판매시스템을 갖춰 인프라를 구축한다. 또 창업챌린지 프로젝트를 운영해 제안된 아이디어를 실현할 기회를 주고, 스타트업 기업으로 이어지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산림청은 권역별 정원전문가 교육기관 5개소를 확충하고, 전문가 306명을 양성한다. 전문인력을 체계적으로 육성하기 위해 교육기관을 선별적으로 지정했다.
정원분야 일자리 수요와 연계해 장‧단기 특화된 전문인력을 교육하고, 맞춤 교재도 개발할 예정이다.
연구개발을 지원해 산업육성 기반도 마련한다. 산림청은 지난해부터 실용정원‧이지가든 모델 개발과 산업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사물인터넷(IoT) 기반 실내개인정원(가든볼) 연구개발은 올해부터 2019년까지 진행된다.
국민복지와 국가경제에 기여할 수단으로서 정원문화‧산업은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산림청에 따르면 국내 정원산업 규모는 2014년 1조3000억원에서 올해 1조4000억원, 2020년에는 2조원으로 확대될 것으로 추산된다.
국외 정원산업은 2014년 215조원, 지난해 228조원, 올해 235조원이다. 내년은 243조원으로 증가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산림청 관계자는 “정원문화 확산과 산업육성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다양한 정원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맞춤형 모델을 개발해 나갈 계획”이라며 “정원정책 홍보를 강화해 국민적 관심을 제고하고, 지지층을 확대해 가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