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아이클릭아트 제공]
정부는 2012년 편의점의 상비 의약품 판매를 허용했습니다. 약국이 문을 닫은 야밤에 응급상황이 발생하더라도 국민들이 약을 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입니다. 접근성이 좋은 편의점의 장점을 활용했습니다. 편의점은 곳곳에 위치해 있는 데다 대부분 1년 내내 24시간 영업을 합니다.
현재 판매되고 있는 것은 해열제(4종), 소화제(4종), 감기약(3종), 파스(2종) 등 총 13개 품목입니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8~9개월 간 이해 관계자들과 편의점 안전 상비 의약품 판매 품목 조정 논의를 진행해왔습니다. 그간 사람들이 잘 찾지 않은 의약품은 제외하고, 많이 찾는 품목은 추가하기 위한 작업입니다.
하지만 약사회 측은 강력 반발하고 있습니다. 전문가의 상담이나 지도 없이 편의점에서 약을 판매하는 것은 약물 오·남용 여지가 있고, 실제 부작용도 급증했다고 주장합니다. 일각에서는 약국 매출 감소를 우려한 것 아니냐는 추측도 나옵니다.
최근 약사회 대표가 회의 중 자해하는 등의 소란이 벌어지면서 이와 관련된 논의는 중단된 상태입니다. 향후 어떻게 결론이 날지 지켜봐야겠습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