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12/11/20171211163922265671.jpg)
임재천 아주경제 금융부장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최근 "CEO 스스로 (자신과) 가까운 분들로 CEO 선임권을 가진 이사회를 구성해 본인의 연임을 유리하게 짠다는 논란이 있다"며 "유력한 승계 경쟁 후보가 없는 것도 논란"이라고 지적했다.
감독당국도 결을 같이하고 있다. 최흥식 금감원장은 "금융지주사들의 경영권 승계 프로그램이 허술한 것 같다"며 "금융지주사들의 경영권 승계와 관련한 조사가 다 끝났고 이미 결과를 통보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오너 경영자가 없는 금융지주나 은행의 최고경영자(CEO)의 임기는 통상 3년이다. 임기 종료를 앞두고 연임 여부를 결정한다. 이때 '현직의 입김'이 너무 작용한다는 게 금융당국의 판단이다. 사외이사나 임추위 주요 멤버를 지인으로 앉히는 것은 물론 유력 후임자를 제거하는 등 이른바 '셀프 연임'이 노골적으로 이뤄지고 있다는 인식이 강한 것이다.
금융당국 수장들이 금융사 CEO 승계 프로세스와 관련해 약속이라도 한 듯 같은 목소리를 내자 일각에서 의구심을 제기하고 나섰다. 금융사 CEO와 경쟁 관계에 있는 인물, 현 정권의 핵심 권력자가 금융권 인사에 간섭하고 있다는 음모론이다.
대부분의 음모론에는 다양한 인물이 등장한다. 이번에는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이 주로 거론되고 있다. 금융기관장 임명에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는 주장이다. 문재인 대통령이 기존에 일면식도 없던 최종구 금융위원장에게 임명장을 수여하면서 "우리 정책실장님이 아주 강력하게 추천을 했는데, 콤비를 이뤄서 잘해주기를 부탁드린다"고 말한 게 힌트라는 해석이다.
이후 '장하성 라인'이라는 단어도 등장했다. 최종구 금융위원장을 비롯해 최흥식 금감원장, 이동걸 산업은행 회장, 김상조 공정거래원장 등이 주인공이다. 최 위원장과 이동걸 회장은 경기고 동문, 김상조 위원장은 참여연대 활동 당시 친분 때문이다.
최근에는 김승유 전 하나금융지주 회장이 새롭게 등장했다. 김 전 회장은 사실무근이라고 해명했지만 장 정책실장의 경기고, 고려대 직속 선배라는 이유로 이름이 오르내리고 있다.
금융당국은 즉각 반박했다. 금융정책의 최고 책임자를 한 개인의 하수인으로 취급하는 건 당국의 권위에 대한 심각한 도전이라고 경고했다. 하지만 금융권에서 이 말을 믿는 사람은 아무도 없는 눈치다.
전직 금융사 고위 관계자는 "정권이 바뀌면 철학이 비슷한 인재를 중용하는 게 맞다"면서도 "이는 정부조직과 공기업 등에 해당하는 것이지 민간에 적용하면 안 된다"고 말했다.
요즘 금융권에서는 '셀프 연임'보다 누군가의 입김이 작용한 '셀프 임명'이 더 큰 문제라고 수군대고 있다. 시간이 지난 후 금융지주 회장을 비롯해 금융사 CEO 자리에 누가 남고, 누가 떠나는지를 지켜보는 것도 이번 정권에 대한 관전 포인트가 될 것 같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