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를 위해 제약업계가 내밀고 있는 카드 중 하나는 ‘고용 있는 성장’이다. 문 정부는 출범 직후 성장-고용-복지가 선순환 구조로 이어지는 ‘골든 트라이앵글’을 핵심 정책 기조로 내세웠다. 복지 확대로 경제 성장을 이루고 다시 고용 확대와 복지로 이어지는 게 문 정부의 정책 방침이다.
때문에 제약업계에선 경제는 성장세지만 고용이 늘지 않는 이른바 ‘고용 없는 성장’이라는 딜레마와는 반대되는 고용 있는 성장이 가능한 산업임을 강조하고 있다. 최근 한국제약바이오협회에서는 한국은행과 통계청 등 최근 10년 통계자료를 분석한 결과까지 내놨다.
이에 따르면 2007년부터 지난해까지 최근 10년간 의약품제조업 연평균 고용증가율은 3.1%로 전체 제조업(1.7%)을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대웅제약·일동제약·보령제약·JW중외제약 등은 상반기에 이어 하반기에도 인력 채용을 이어나갔다. 녹십자·유한양행·종근당 등도 연구개발(R&D) 인력을 확충하는 등 다수 제약사가 정부 일자리 창출 기조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협회는 “제약산업이 고용과 성장을 함께하는 산업임이 입증됐다”면서 “앞으로도 이런 경향을 유지할 것”이라고 자신하고 있다.
앞서 문 정부도 이같은 제약산업 장점에 기대감을 보였고, 4차산업혁명위원회에 제약바이오분과도 설치키로 했었다. 업계는 ‘컨트롤타워’(정책총괄기관)를 통한 효율적 정책지원이 곧 현실화될 것으로 기대했지만, 현재까지 지난달 4차산업혁명위 산하에 헬스케어특별위가 구성돼 이제야 본격 가동을 앞두고 있는 것이 전부다.
지난달 공개된 ‘제약산업 육성지원 5개년 종합계획’마저도 제약업계는 지원정책 변화를 실감하지 못했다. 실현 가능한 목표 없이 형식적 절차에 그쳐 제약산업을 육성하려는 정부 의지가 있는지 의문스럽다는 지적만이 쏟아졌다.
문 정부가 출범한지 7개월이 지났다. 기약 없는 제약산업 지원책 공약은 신약 개발 활성화에 나선 업계 의지를 꺾고 괴롭히는 희망고문일 뿐이다. 업계의 절실한 외침과 기대도 언젠간 끊길 수 있음을 간과해선 안 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