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고양시제공]
문재인 정부 핵심 국정과제인 도시재생 뉴딜사업은 국토교통부가 매년 10조 원을 투자하는 대규모 국책사업으로 국비가 차등 보조된다. 보조금 기준액은 사업지 규모별로 △우리동네살리기 50억 원 △주거지지원형 100억 원 △일반근린형 100억 원 △중심시가지형 150억 원 △경제기반형 250억 원 순이다.
새 정부가 들어서면서부터 기존 뉴타운사업의 전면철거 방식에서 벗어나 지역 맞춤형 개발을 유도하는 도시재생 뉴딜사업이 전국적인 관심을 받고 있다.
고양시는 새 정부 국정기조에 맞춰 지난 7월부터 뉴딜사업에 대한 면밀한 분석과 준비 작업에 본격적으로 착수했다. 시는 고양시장을 단장으로 하는 고양시도시재생사업추진단 구성하는 등 담당부서의 전략적인 노력과 관계부서와의 협치가 두드러졌다.
인사부서는 지난 10월 재생업무 전담인력 1명을 긴급 배치했으며 예산부서는 올해 2회 추경예산에 용역비 3억5000여만 원을 편성, 내년 본예산에는 도시재생지원센터 운영비 8억2000여만 원, 활성화계획수립 용역비 7억여 원 등 도시재생 관련 예산을 총 17억여 원을 편성했다.
고양시는 이번 공모에 선정된 주교동 원당초등학교 주변지역과 화전역 일대에 대한 도시재생 사업을 내년 1월부터 신속히 추진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이번 공모에 대한 성공적인 대응으로 국비 150억 원을 확보하게 됐으며 시비 40%를 매칭해 4년간 총 250억 원이라는 막대한 재원을 도시재생 뉴딜사업에 투자하게 됐다”며 “공모 준비과정과 마찬가지로 시행과정도 체계적으로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공모사업 선정지역 주민은 “30년 전보다 더 낙후된 우리 마을이 뉴딜사업에 선정됐다는 소식에 마을 주민들이 기쁨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며 기대감을 보였다.
시는 뉴딜사업에 대한 시민의 기대감이 큰 점을 고려해 지속적인 공모사업에 참여, 수혜지를 확대해 나간다는 입장이다.
2018년부터는 자체적으로 주민 대상 공모사업을 추진해 도시재생 주민역량을 강화하는 한편 주거재생사업 시범모델 개발 용역을 추진하는 등 고양시만의 특성을 살릴 방침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