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금융·경제 정책이 중국을 향한 불안감을 증폭시키고 있다. 2015년 위안화 가치 급락과 외화유출로 위기를 맞을 뻔했던 중국 환율·자본 시장이 미국발 악재로 다시 요동칠 수 있다는 우려다.
중국 당국은 "펀더멘털이 과거와 다르다"며 안정을 자신하고 있지만 살얼음판을 걷는 상황이다. 중국 당국도 리스크를 인지한 상태로 향후 어떤 카드로 충격을 완화해 환율 시장 안정과 성장 지속, 대대적 개혁 추진과 시장 개방 등 여러 마리의 토끼를 동시에 잡아낼 수 있을지에 시장 관심이 집중됐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최근 기준금리를 0.25%p 인상한 1.25%~1.50% 수준으로 조정했다. 이미 오래전 예고된 이슈로 시장이 충격을 사전에 소화해 큰 여파는 없었다. 하지만 미국의 잇따른 금리 인상은 위안화 환율 안정을 위협한다는 지적이다. 연준은 내년에도 2~3 차례 금리를 인상할 계획으로 이는 위안화 가치 절하 전망을 키우고 외화유출을 유발할 수 있어 우려된다고 중국신문망(中國新聞網)은 보도했다.
이 뿐만이 아니다.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는 기존의 35%에서 20%로 법인세율을 낮추는 파격적인 감세안을 내놨고 발효가 가시권에 진입한 상태다. 특히 구글, 애플 등 미국 기업의 이익잉여금을 끌어오기 위한 '환류감세조치'(35%→14.5%)가 우려된다. 해외시장에 진출한 기업은 오히려 과세부담이 커질 예정으로 중국에 진출하거나 투자한 미국 기업이 중국 시장에서 발을 빼고 자본도 빠르게 빠져나갈 수 있다.
자본유출은 다시 위안화 절하를 유발하고 이는 중국 기업의 외화부채 디폴트(채무불이행) 가능성을 높여 리스크를 키운다. 중국 경제가 안고 있는 '부채폭탄'이 커지면 경기 둔화세가 뚜렷해지고 심지어 경제 전반에 대한 우려를 증폭시킬 수 있다. 이는 다시 위안화 약세와 자본유출의 원인이 된다. 이처럼 미국발 악재가 연쇄반응을 일으켜 중국 경제 전체를 악순환의 늪으로 빠뜨릴 수 있는 만큼 중국 당국도 고민이 깊다.
지난주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중국 당국이 미국발 악재의 영향을 축소하고 환율 안정을 유지하기 위한 대응책을 마련하기 위해 분주하다고 보도했다. 소식통의 발언을 인용해 자본유출을 막고 위안화 가치를 지탱하기 위해 금리인상, 자본유출 통제 강화, 시장 개입 등 다양한 정책도구를 활용한 대응책 마련에 골몰하고 있다고 전했다. 중국 관계자가 미국 세제개편이 충분히 예상 가능하지만 현실이 되기 전까지 간과하기 쉬운 리스크인 '회색 코뿔소'라고 지칭하기도 했다고 덧붙였다.
WSJ는 통화당국인 인민은행이 은행간 초단기 차입금리를 인상하는 방식으로 유동성을 조절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중국 시장도 인민은행이 금리 인상을 대응카드로 꺼내들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판단하는 분위기다. 금리 인상은 성장 둔화를 가속화시킬 수 있어 충격이 크다는 판단 때문이다. 실제로 올해 인민은행은 공개시장조작을 통해 필요한 유동성만 주입하는 신중한 행보를 보여왔고 이러한 흐름은 지속될 전망이다.
미국 금리인상 소식이 나온 14일에도 인민은행은 역환매조건부채권(역RP) 7일물 금리를 2.45%에서 2.5%로, 28일물 금리를 2.75%에서 2.8%로, 중기유동성지원창구(MLF) 1년물 금리도 3.2%에서 3.25%로 5bp(1bp=0.01%)씩 높이는 방식으로 대응했다. 인민은행은 18일에도 역RP 14일물 금리를 5bp 인상해 유동성 고삐를 조였다.
중국은 미국발 등 각종 변수를 충분히 소화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유지하고 있다. 미국이 '기준금리 인상+감세+제조업 회귀 정책+자본 복귀' 전략으로 중국을 겨냥했지만 그래도 중국은 여전히 매력적이며 경제·자본시장 펀더멘털도 크게 개선돼 문제가 없다는 주장이다. 위안화 환율에 대해서도 소폭 등락을 반복하는 조정국면과 점진적 절하는 있겠지만 가치 급등락을 우려할 필요는 없다고 일관된 목소리를 내고 있다.
신경보(新京報)는 최근 다수 전문가의 발언을 인용해 "미국 금리 인상은 충분한 기간을 두고 이뤄지고 있어 시장 충격과 영향이 크지 않다"고 분석했다.
자오시쥔(趙錫軍) 중국 인민대 재정금융학원 부원장은 "이미 예고한 후 이뤄지는 금리 인상보다 미국 감세안 발효 시기와 영향을 지켜볼 필요가 있다"면서도 "두려워할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자오 부원장은 "1970년대 달러 위기와 함께 미국 금융과 경제가 어려움에 처했고, 1980년대 초 링컨 정부는 감세와 금리 인상 카드를 꺼내들었다"며 "10년 후 미국 경제는 가장 좋은 시절을 맞았다"고 소개했다. 미국이 다시 이러한 '성공'을 원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하지만 과거와 현재는 상황이 다르다는 점을 강조했다. 자오 부원장은 "이론적으로 미국의 조치는 미국 경제에 긍정적이고 자본도 몰려들 가능성이 있다"면서 "하지만 중국 자본시장이 완전히 열리지 않아 잠재력이 크고 미·중 양국 기업의 성장세와 경쟁력을 비교해도 미국의 변화를 두려워할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중국 상무부도 자신감을 보였다. 가오펑(高峰) 상무부 대변인은 시장원칙에 따라 행동하는 기업에게 중국은 여전히 놓칠 수 없는 매력적인 투자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11월 중국 신규투자 해외기업이 전년 동기대비 161.5% 급증했고 외국인직접투자(FDI) 유치액도 전년 동비 90.7% 증가한 것을 근거로 들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