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웨덴 정부의 한반도 사무특사인 켄트 해슈테트가 최근 중국과 북한을 연이어 방문해 한반도 관련 고위급 인사들과 면담을 가졌다. 이에 한반도 문제에 대한 스웨덴의 중재자 역할론이 급부상하고 있다.
최근 조선중앙통신 등 북한 매체에 따르면 해슈테트 특사는 지난 19~21일 일행들과 함께 북한을 방문해 리수용 노동당 부위원장, 리용호 북한 외무상, 한성렬 외무상 부상 등을 면담했다.
조선중앙통신은 “석상들에서는 두 나라 사이의 관계를 여러 분야에서 확대·발전시켜나갈 데 대한 문제가 토의되었으며 최근 조선반도(한반도) 정세와 관련한 의견이 교환되었다”고 설명했다.
앞서 해슈테트 특사는 지난 18일 북핵 6자회담 중국 측 수석대표인 쿵쉬안유(孔鉉佑) 외교부 부장조리(차관보급) 겸 한반도사무특별대표과도 만나 한반도 문제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두 특사의 회동은 북한이 지난달 29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급 '화성-15형'을 발사하면서 한반도 안보 위기를 고조시키고 있는 가운데 이뤄져 큰 관심을 받았다.
이처럼 스웨덴 정부의 한반도사무특사가 중국과 북한의 최고위급 외교 간부들을 잇달아 만나면서 스웨덴이 한반도 문제에 모종의 역할을 하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스웨덴은 1973년 북한과 수교한 이래 상대국 수도에 대사관을 개설하는 등 긴밀한 외교관계를 유지하며 북한과 가장 긴밀한 유럽 국가로 꼽혀왔다.
또한 스웨덴은 한국전쟁 종전 뒤 한반도 정전체제를 감시·관리하는 중립국 감독위원회의 일원이기도 하다.
이 때문에 북한과 수교하지 않은 미국과 캐나다 등 서방국가의 국민 억류 같은 인도적 문제가 북한에서 생길 때마다 스웨덴은 중재자 또는 해결사 역할을 하곤 한다.
북한은 과거 미국 대학생 오토 웜비어 억류 사건이 발생하기 전까지 북한에 억류 중인 미국인들이 평양 주재 스웨덴 대사관을 통해 접견하는 것을 허용해 왔다. 웜비어 사건에서도 스웨덴은 북한과 미국 사이에서 교섭 역할을 맡은 것으로 전해진다.
또한 스웨덴은 1995년부터 북한 수해 지원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대북 인도적 지원 사업을 해왔고 북한의 6차 핵실험 이후에도 292만 달러(약 31억5000만원)의 대북 사업 계획을 예정대로 추진했다.
양국은 마식령 스키장 건설, 건축교육 상호협력 등의 공동사업을 추진하며 상당한 경제적 교류도 이어나가고 있다.
이에 일각에서는 북한과 다양한 경제적·외교적 협력을 맺으면서 북한의 신뢰를 얻은 스웨덴이 한반도 문제에서 '중재자' 역할을 맡을 것이라는 기대가 나오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