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합의 수정 내비친 강경화

  • 외교문제 아닌 '인권 문제' 강조

  • 피해자 입장에서 모든 옵션 고려 소통

  • 일본과 외교문제 비화 가능성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26일 오전 서울 외교부 청사에서 언론을 대상으로 송년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27일 발표 예정인 ‘한·일 위안부 합의 검토 태스크포스(TF)’의 검토 결과와 관련, "(당시) 합의가 나오기까지 피해자와의 소통이 상당히 부족했다"는 결론을 내렸다.

강 장관은 26일 서울 도렴동 외교부 청사에서 진행한 내신 브리핑에서 "정부는 TF 검토 결과를 십분 감안하면서 피해자 및 피해자를 대변해온 단체, 전문가 등과의 충분한 소통을 통해 앞으로의 대응 방향을 정립해 나가고자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특히 위안부 문제가 안보나 북핵 등 외교 문제와는 다르게 특수성을 가진 '인권 문제'라고 강조한 강 장관은 "TF가 초점을 맞춘 건 2015년 12월 28일 합의가 나오기까지 정부와 과거 피해자 간 소통이 얼마나 이뤄졌느냐 하는 점이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TF 결과를 감안하고 당사자인 할머니와 피해자 지원 단체의 목소리를 충분히 담아서 정부의 입장을 정립해나가는 게 맞다"며 "앞으로 국민 70%가 받아들이지 못하는 이 합의를 정부가 어떻게 갖고 갈 것인가에 대해서는 모든 옵션을 열어놓고 소통을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강 장관이 과거 위안부 합의를 수정할 수도 있다는 뜻을 내비치면서 한·일 관계가 안갯속에 휩싸일 것으로 전망된다.  

위안부 문제는 한·일 관계에서 터닝포인트 역할을 할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의 평창동계올림픽 참석 여부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관측된다. 

아베 총리의 평창올림픽 참석 여부는 TF 보고서 내용에 따라 결정될 것이라는게 지금까지 외교가가 가지고 있던 이해상황이다. 

이에 우리 정부는 "TF의 보고서는 평가일 뿐 한국 정부의 입장은 추후 정립해갈 것"이라는 입장을 고수하며 아베 총리의 참석을 유도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이날 강 장관에 따르면 현재까지 국제올림픽위원회(IOC)를 통해 평창동계올림픽 참석 의사를 표명한 각국 정상은 43명 정도다. 우리 정부가 다양한 경로를 통해 참석을 확인한 정상은 15명인 것으로 파악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